日웨딩플래너 후지타가 본 한·일 결혼식 문화
“한국의 결혼식은 퀄리티(질)가 높고 성대해서 놀라워요. 하지만 정해진 식순에 떠밀려 신랑과 신부가 하객들과 함께 유쾌하게 즐길 시간이 부족한 건 너무 아쉽습니다.”
후지타 게이코 日웨딩플래너
후지타는 9개월간 한국에서 지내며 두 번의 결혼식에 참석했는데 매번 그 규모에 압도됐다고 했다. 일본의 결혼식 하객은 60명 정도가 일반적이라고 한다. 100명만 넘어가도 혀를 내두른다. 후지타는 “일본에서도 5~6년 전부터 작은 결혼식이 유행하기 시작했다”며 “일본이 말하는 작은 결혼식은 하객 10~30명 내외인데 한국에서는 100명 이하만 돼도 작은 결혼식이라고 부르는 걸 보고 문화 충격을 받았다”고 전했다. 부부가 주인공이 돼 화보처럼 포즈를 취하고 찍는 스튜디오 사진도 한국에선 당연한 절차로 여겨지지만 후지타에게는 낯선 풍경이다.
●日은 접대 중요시해… 하객 수 60명이 일반적
결혼 비용에도 차이가 있다. 기준을 어디다 두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이긴 하지만 일본 도쿄의 예식장이나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데 드는 평균 비용은 한국 돈으로 4000만원 정도다. 절대적 수치는 얼핏 한국과 비슷해 보이지만 물가 등의 차이로 일본에서는 축의금이 보통 30만~50만원 수준이다. 사실상 일본의 결혼식 비용이 한국보다 훨씬 낮은 셈이다.
후지타는 이런 차이를 결혼을 바라보는 시각차에서 찾았다. “일본에서 결혼식은 초대한 하객들에게 접대하는 자리라는 생각이 강하죠. 하객 수가 신랑 신부가 일일이 살펴볼 수 있는 수준에서 정해질 수밖에 없는 이유이지요.”
●절반이 스몰웨딩… 혼인신고만 하는 커플 늘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용에 대한 고민은 두 나라 신랑 신부들이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문제다. 한국에서 이제 막 유행하기 시작한 ‘스몰 웨딩’이 일본에선 40~50%의 부부가 선택할 정도로 이미 대중화됐지만 이 또한 고급화된 형태로 자리잡았다. 개성을 나타내는 형식일 뿐 비용 절감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상당수 일본의 예비부부들은 결혼 소품을 직접 제작하고 저렴한 장소를 물색하는 등 비용을 줄이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요즘에는 불필요한 예식은 생략하고 혼인신고를 하는 것으로 결혼식을 대체하는 커플도 늘고 있다.
“일본이 한국 결혼문화의 대안이라거나 발전된 형태라고 생각하진 않아요. 다만 일본은 선택의 폭이 좀 더 넓다는 게 한국과 다른 점이죠. 저렴한 결혼이냐, 호화 결혼이냐의 문제가 아니라 여러 대안이 존재해 각자의 기준에서 합리적인 결혼을 선택할 수 있는 시장이 마련되는 게 중요하지 않을까요.”
글 사진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5-09-1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