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도시재생 공공 디벨로퍼가 이끈다] “대량공급 집착 않고 주민과의 공감대가 최우선”

[서울형 도시재생 공공 디벨로퍼가 이끈다] “대량공급 집착 않고 주민과의 공감대가 최우선”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17-07-04 21:04
수정 2017-07-05 0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엔푹첸 홍콩 HA 최고책임자

“홍콩은 노후된 공공임대주택을 재건축할 때 우선 주민들의 임시 거주지를 찾습니다.”

유엔푹첸 홍콩 주택청(HA) 람틴 지부 최고책임자는 지난달 23일(현지시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홍콩은 대부분 땅이 국유지라 한국의 상황과 다를 수 있지만 공급자 위주의 생각에서 벗어나 수요자 입장에서 바라봐야 한다. 공적 기관과 주민이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미지 확대
유엔푹첸 홍콩 HA 최고책임자
유엔푹첸 홍콩 HA 최고책임자
1973년 홍콩 정부는 기존의 주택관련 부서를 통합해 출자기관인 HA를 설립하고,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주력해 왔다. 민간주택에 입주할 수 없는 이들의 삶을 보장해 주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지난해 기준으로 HA가 운영·관리하는 공공임대주택 단지는 214개에 이른다. 전체 단지의 80~90% 수준이다. 73만 7416가구, 205만 7113명이 거주한다.

유엔푹첸 최고책임자는 “공공임대주택 단지들은 지역에 따라 규모는 다르지만 보통 4~10개 동으로 구성된다. 현재 람틴 지역은 4개 동으로 이뤄졌고, 노후화돼 2009년 재건축을 마쳤다”면서 “홍콩은 오랜 시간 영국의 식민지배를 당해 민간의 능력이 떨어진다. 우리 같은 공기업들이 권한을 갖고 주도적으로 계획·건설·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들어 HA는 ‘환경’과 ‘편의·복지시설 확충’에 큰 관심을 둔다. 새롭게 짓는 공공임대주택 단지의 녹지 비율을 30%에 맞추고, 노인보호센터를 함께 짓는 식이다. 주택의 대량 공급에 치중했던 과거와 달라졌다. 유엔푹첸 최고책임자는 “시민들이 낸 세금으로 하는 일이기 때문에 공공성을 무시할 수 없다. 커뮤니티와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편”이라고 강조했다.

홍콩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7-07-0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