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하는 훈민정음 해례본 2권 모두 발견… 경북은 세계 속 한글 중심지”

“현존하는 훈민정음 해례본 2권 모두 발견… 경북은 세계 속 한글 중심지”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21-09-06 17:32
수정 2021-09-07 01: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철우 경북도지사 인터뷰

“경북도가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속의 한글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6일 “경북은 2권밖에 없는 훈민정음 원본인 해례본 모두가 발견된 곳임을 비롯해 유수한 한글 관련 문화적 자산들을 지녀 한글도시로서의 대표성이 강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지사는 이어 “앞으로 다가올 디지털, 인공지능(AI) 시대에 한글이 세계적인 문화산업으로 각광을 받게 될 것인데, 경북이 한글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에 앞장서 그 가치와 품격을 드높일 수 있도록 세계화 역량을 강화하겠다”면서 “경북이 새마을운동 세계화를 통해 전 세계에 과시한 저력을 바탕으로 삼겠다”고 강한 의지를 보였다.

이를 위해 경북이 만들어 세계인이 소비하는 다양한 한글 문화·콘텐츠 상품을 중점 개발해 나가기로 했다.

한글사랑을 한류와 연결 짓기 위해 매년 한글주간을 운영하고 한글 관련 뮤지컬·공연·소품 등 문화예술상품 개발, 한글 전통마을 재현, 메타버스(가상현실)와 한글 결합, 한글사랑 캠페인 운동 전개 등이 대표적이다. 또 한글을 활용한 신성장 AI 산업 육성을 위해 한글 슈퍼 컴퓨터 본당 조성과 한글 말뭉치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말뭉치란 언어 연구를 위해 텍스트를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모아 놓은 언어 자료다.

이 지사는 “570여년 전 세종대왕에 의해 창제된 한글은 지금까지 경북에서 유일하게 지켜지고 간직되어 왔다고 자부한다”면서 “전 세계에 불고 있는 ‘한류’(韓流)의 최상위 단계인 우리 한글의 전파만큼은 한글 역사와 문화의 중심에 있는 경북이 가장 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1-09-0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