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고독한 무연고 죽음

[커버스토리] 고독한 무연고 죽음

입력 2012-12-01 00:00
수정 2012-12-01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장이가 떠났다 그 누구도 모르게

세상 떠나는 마지막 잔칫상조차 차려줄 사람 없는 쓸쓸한 죽음. 다른 사람들처럼 기뻐하고 슬퍼하고 사랑했던 이승에서의 행적이 완전히 혼자된 죽음으로 잊히는 무연고 사망자가 최근 5년간 전국적으로 2939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서울신문이 2007~2011년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무연고 사망 현황 자료를 받아 집계한 결과다.

이미지 확대
지난 10월 29일 서울 관악구의 한 주택 단지. 신문지, 박스 등을 모아 팔던 서영호(가명·52)씨 집 앞에 평소와 달리 폐지 더미가 높이 쌓여 있었다. 서씨는 일주일 가까이 눈에 띄지 않았다. 혼자 어렵게 지내는 그에게 평소 쌀과 반찬을 챙겨주던 마을통장은 불안한 마음에 그집 문을 열었다. 서씨는 숨진 채 바닥에 엎드려 있었다. 시신이 부패하는 냄새에 통장은 코를 막았다. 경찰에 신고하고 며칠 후 통장은 병원에서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이 분 장례를 치러야 하는데 유족이 없네요….” 유족에게 어렵게 연락이 닿았지만 돈이 없다며 시신 포기 각서를 썼다고 했다. 서씨의 장인을 수소문해 찾았지만 그 역시 묵묵부답이었다. 사정이 어렵기는 마찬가지라고 했다. 결국 시신은 구청에 인도됐고 구청은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무연고 사망자 공고를 냈다. 공고 기한인 12월 7일이 지나면 그의 시신은 화장돼 경기 파주시 용미리 ‘무연고 추모의 집’에 안치된다.

서씨의 지인들은 그의 삶이 가라앉기 시작한 것이 1997년 외환위기 때라고 했다. 그는 잘나가는 미장이였다. 건설 경기가 좋을 때는 한달에 보름 정도는 일했다. 하루 10만원 이상 너끈히 벌었다. 번듯한 집도 마련했다. 그러나 경기가 속절없이 곤두박질하며 살림이 어려워지자 아내가 집을 나갔다. 그는 술에 손을 댔고 자식들에게도 소홀해졌다. 심각한 알코올 중독에 빠지자 지난해 자식들마저 그를 떠났다.

주변에선 서씨에게 폐지라도 팔라고 권했다. 하지만 재기는 쉽지 않았고 건강은 날로 악화됐다. 통장은 “집을 팔아 병원비라도 마련하라.”고 했지만 서씨는 “자식들에게 해준 것도 없는데 집만은 남겨주고 싶다.”며 버텼다.

그가 숨진 채 발견된 지 한달 만에 찾은 빈집은 영하의 날씨에도 창문이 열려 있었다. 전기계량기는 멎어 있었고 전기요금 등을 내라는 우편물들이 죽은 집주인을 독촉하고 있었다.

이범수기자 bulse46@seoul.co.kr

명희진기자 mhj46@seoul.co.kr

배경헌기자 baenim@seoul.co.kr

2012-12-0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