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50년째 서민 물가 바로미터…라면값의 경제학

[커버스토리] 50년째 서민 물가 바로미터…라면값의 경제학

입력 2013-08-31 00:00
수정 2013-08-31 0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건드리면 다치는 ‘서민의 한끼’

보름 뒤면 라면이 우리나라에 상륙한 지 50년이 된다. 삼양라면은 1960년대 후반 신문에 ‘라면의 영양이 쌀밥보다 뛰어나다’는 광고를 냈다. 1원으로 낼 수 있는 열량을 비교해 봤더니 라면은 31.4㎉로, 쌀밥·콩나물국·김치로 차린 한상(26.1㎉)보다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이다. 생선 조림에 후식까지 넣은 ‘상류생활’의 한 끼는 8.5㎉로 라면에 비해 턱없이 낮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1963년 9월 15일 국내에 처음 나온 라면에는 ‘제2의 쌀’이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전후 식량난을 해소하고자 등장한 구원투수였다. 1960년대 시작된 분식장려 정책과 맞물려 인스턴트 라면이 쏟아졌다. 삼양식품은 국가 보건행정 발전에 기여했다며 1967년 3월 대통령 표창을 받기도 했다. 식품 기업으로는 처음이었다.

서민의 곯은 배를 채워 줘야 하다 보니 가격은 최저가였다. 처음 나온 삼양라면의 소비자 가격은 한 봉에 10원, 현재는 780원(농심 신라면 기준)이다. 같은 기간 서울시내 버스 요금은 5원에서 1150원으로 라면보다 3배가량 올랐다. 대표적인 서민 외식 메뉴인 짜장면은 1960년대 초 15원으로 라면 한 봉 가격과 비슷했지만 지금은 한 그릇에 5000원은 줘야 먹을 수 있다.

서울시가 지난해 낸 통계연보에 따르면 1975년 대비 2011년 서울 물가는 평균 9.4배 올랐다. 라면은 이에 못 미치는 7배 인상에 그쳤다. 버스 요금과 짜장면은 각각 24.4배, 26.4배 올랐다. 라면보다 안 오른 건 담배, 닭고기, 맥주뿐이었다.

라면은 정부의 엄격한 가격 통제를 받았다. 경제기획원(현 기획재정부)은 1974년 ‘12·7 특별조치’를 통해 라면 등 58개 주요 생필품을 행정규제 품목으로 정했다. 해당 기업은 가격을 올리기 전에 주무부처 및 경제기획원과 협의해야 했다. 라면 업계 관계자는 “국제 원자재값 상승 등으로 라면값을 인상해야 하는 요인을 설명해도 정부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가격을 올리기 힘들어 이윤이 적어지자 라면 업체들은 라면에서의 손실액을 메우려고 과자, 조미료, 우유 등 다른 사업에 손대기 시작했다. 또 기존 제품 대신 신제품 라면을 내서 가격을 올려 받는 편법을 썼다.

라면값 통제는 2000년대 들어서도 계속됐다. 이명박 정부는 2008년 들어서자마자 MB물가지수를 정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민생과 밀접한 52개 품목을 관리 대상으로 지정해 특별 관리했다. 라면은 소주, 두부 등과 함께 포함됐다.

이명박 정부 5년간 물가 안정의 총대를 멘 건 공정거래위원회였다. 김동수 전 공정거래위원장은 라면 업계에서 ‘저승사자’로 통했다. 김 전 위원장은 2011년 나온 프리미엄 라면 신라면블랙의 가격(1600원)이 적정한지 살펴보겠다며 돋보기를 들이댔다. 그러곤 ‘설렁탕 한 그릇의 영양을 담았다’는 허위·과장 광고를 했다며 농심에 1억 5500만원의 과징금을 매겼다. 지난해 3월에는 농심, 삼양라면, 오뚜기, 팔도 등 4개 업체가 2001년부터 9년 동안 담합한 사실을 조사해 1354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업체들은 관례대로 정부의 가격지도를 받았을 뿐이라고 반발하며 행정소송을 진행 중이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서울시의회 김혜영 의원(국민의힘, 광진4)이 대표발의한 ‘서울시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달 27일 서울시의회 제331회 정례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은 디지털 환경 변화에 적응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체계적인 디지털 기술 교육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근거를 신설한 것으로, 실질적인 자생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서울시 소상공인 정책의 무게중심을 옮긴 입법 성과다. 개정된 조례에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기술 역량강화 교육’을 서울시가 실시할 수 있는 경영 및 창업지원 사업의 하나로 명시(제8조 제7호의3)해, 관련 교육사업을 지속적이고 구조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갖췄다. 김 의원은 “디지털 기술이 일상화된 현재에도 키오스크 사용이나 온라인 판매조차 어려워하는 소상공인들이 여전히 많다”며 “단순한 재정지원만으로는 변화에 대응할 수 없으며,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진정한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소상공인진흥공단의 실태조사 결과에(2021년 기준)에 따르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소상공인의 비율은 전체의 15.4%에 불과하며, 특히 제조업(7.6%), 숙박·음식점업(7.6%), 수리
thumbnail -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2013-08-3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