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493만명… 3위 뤼튼 107만명
英·伊 등 정보 유출 우려 규제 검토
![지난 28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한 휴대폰 사용자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을 띄워 놓고 있다. 딥시크 앱은 최근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챗GPT를 2위로 밀어내고 1위에 올랐다. 제네바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C_20250205062211_O2.jpg.webp)
![지난 28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한 휴대폰 사용자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을 띄워 놓고 있다. 딥시크 앱은 최근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챗GPT를 2위로 밀어내고 1위에 올랐다. 제네바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C_20250205062211_O2.jpg.webp)
지난 28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한 휴대폰 사용자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을 띄워 놓고 있다. 딥시크 앱은 최근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챗GPT를 2위로 밀어내고 1위에 올랐다. 제네바 EPA 연합뉴스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앱)의 국내 주간 사용자 수가 12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 4일 발표한 지난달 4주차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생성형 AI 앱’ 통계에 따르면 중국 딥시크가 121만명으로 주간 사용자 수 2위를 차지했다. 지난달 말 출시됐지만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는 얘기다.
주간 사용자 수 1위는 오픈AI의 챗GPT(493만명)였다. 딥시크에 이어 뤼튼이 107만명으로 3위를 차지했고, 에이닷이 55만명, 퍼플렉시티 36만명, 마이크로소프트(MS) 코파일럿 17만명, 클로드가 7만명으로 집계됐다.
중국 AI 스타트업인 딥시크는 저비용으로 고효율 AI 모델을 선보이며 업계 안팎에 큰 파장을 낳았다.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오픈AI의 최대 주주인 MS도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에 딥시크를 도입할 계획이다.
다만 딥시크가 가장 최근에 내놓은 R1 모델에 대해선 여러 국가가 규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영국 정부는 R1의 국가안보적 영향을 조사하고 있으며, 이탈리아는 개인정보 사용 방식에 대한 딥시크 본사의 답변이 불충분하다며 조사에 착수했고 사용자의 신규 접근을 차단했다.
국내에선 아직 별도의 규제 조치가 나오지 않은 가운데,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이날 딥시크 R1 모델의 ‘안전서비스’를 카카오톡 뤼튼 채널에서 시작한다고 밝혔다.
딥시크 자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 클라우드에 모델을 탑재해 제공하는 서비스라 이용자의 입력 데이터가 특정 국가로 유출되거나 제작사의 모델 학습에도 이용되지 않는다는 강점이 있다.
2025-02-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