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100세를 위하여] 노후준비지표 진단 고령자 은행 등 노크

[행복한 100세를 위하여] 노후준비지표 진단 고령자 은행 등 노크

입력 2013-05-13 00:00
업데이트 2013-05-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무진단 및 재취업

모든 준비의 시작은 진단이지만, 퇴직자들은 진단 받기를 꺼린다. 낙제점을 받을 것 같은 막연한 공포 때문이다. 진단이 안 되었으니 은퇴에 대한 걱정은 늘어도 준비는 늘 부족한 악순환의 연속이다.


황원경 KB골든라이프연구센터장은 “베이비부머(50~58세) 200명을 조사한 결과, 은퇴 대응 정보를 미디어에서 구하는 경우가 52%이고 은퇴 교육을 받은 이는 6%에 불과했다”면서 “하지만 미디어는 일반적인 대책을 일러줄 뿐”이라고 지적했다. 각자 자신의 처지에 맞는 노후 대비법을 장만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진단’을 마음 먹었다면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활용해 간단히 시작해 볼 수 있다.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이 함께 만든 ‘노후준비지표’를 공단 홈페이지(www.nps.or.kr)나 스마트폰 앱으로 이용할 수 있다.

퇴직자들을 위한 재취업 교육과 일자리 주선 프로그램도 있다. 시니어클럽·대한노인회 취업지원센터 등은 맞춤형 노인 일자리를 주선하거나 직업교육을 실시한다. ▲몸이 불편한 노인을 노인이 돌보는 ‘노(老)-노(老) 케어’ ▲젊은 시절 경험을 살려 일할 수 있는 ‘고령자 인재은행’ ▲개발도상국에서 전문성을 살려 일할 수 있도록 한 ‘개도국 전문가 파견’ 프로그램 등이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실시하는 ‘50+ 새일터 적응 지원’ 프로그램과 정부 지원 직업훈련인 ‘내일배움카드’ 등은 퇴직자들의 교육과 훈련에 초점을 맞췄다.

‘인생 후반 리스크’를 피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김혜령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재취업도 중요하지만 재정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는 노후 리스크에 걸려들지 않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표적인 인생 후반 리스크로 김 연구원은 ▲섣부른 은퇴 창업 ▲금융 사기 ▲중대 질병 ▲황혼 이혼 ▲성인자녀 부양 등을 꼽았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3-05-13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