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기업의 신성장 미래전략] 한국석유공사

[글로벌기업의 신성장 미래전략] 한국석유공사

입력 2011-07-15 00:00
업데이트 2011-07-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형화 모색… 대체원유 사업 진출

한국석유공사는 2020년까지 하루 생산 67만 배럴의 세계 40위권 글로벌 석유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수·합병(M&A)을 통해 공사 대형화를 이루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데 방점을 찍은 이유다.

이미지 확대
한국석유공사가 참여한 영국 다나사의 탐사광구 시추 시설. 한국석유공사 제공
한국석유공사가 참여한 영국 다나사의 탐사광구 시추 시설.
한국석유공사 제공
우선 경쟁과 협력, 전략적 제휴 등 다양한 국제 네트워크를 구축해 석유 개발을 원활히 수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리스크는 크지만 대규모 매장량 확보가 가능한 지역에 진출할 예정이다. 또 기존 석유자원의 노후화 가능성에 대비해 대체 원유 프로젝트 진출로 사업 다각화를 꾀하고 있다.

조직은 지역별 사업부제로 확대 개편할 방침이며 핵심 전략지역과 연계된 새로운 조직을 만들어 현장 중심의 독립 지역본부 체제를 갖춰 갈 계획이다. 이곳에 독자적인 사업권한을 맡겨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하지만 석유공사는 자원민족주의와 자원확보 경쟁이 심화되고 자원이 전략 자산으로 탈바꿈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해외 대형 에너지 기업에 비해 떨어지는 기술과 경험, 투자여력 등이 약점으로 꼽힌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공사 대형화야말로 석유개발 후발 주자인 우리나라에서 가장 빠르게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민간 자율에 맡길 경우 장기적 안목의 투자를 기피해 제자리를 맴돌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석유공사 측은 대형화를 통해 세계적인 석유기업으로 발돋움하면 전문성과 사업역량이 강화돼 석유자원의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확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석유공사는 지난해에도 베트남 15-1광구 추가 생산을 비롯해 카자흐스탄 아다광구의 생산시설 준공 등 다양한 자원 확보 활동을 펼쳤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7-15 4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