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은 10년의 쌀 면 개발 노하우를 담은 ‘콩나물뚝배기’를 시장에 내놨다. 농심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7/17/SSI_20160717161137_O2.jpg)
농심 제공
![농심은 10년의 쌀 면 개발 노하우를 담은 ‘콩나물뚝배기’를 시장에 내놨다. 농심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7/17/SSI_20160717161137.jpg)
농심은 10년의 쌀 면 개발 노하우를 담은 ‘콩나물뚝배기’를 시장에 내놨다.
농심 제공
농심 제공
농심은 한국인의 주식이 쌀이라는 점에 착안해 2007년 건면 전문공장인 녹산공장 가동을 시작으로 쌀국수에 뛰어들었다. 쌀은 밀가루와 점성, 식감, 익히는데 걸리는 시간이 달라 라면 제조 기술을 배제하고 원점에서 시작했다.
쌀 면은 가래떡처럼 고압에서 뽑아 뜨거운 바람에 말려서 만들었다. 그 결과 2009년 봉지 타입의 ‘둥지 쌀국수 뚝배기’가 나왔다. 이어 쌀짜장면, 쌀짬뽕 등도 나왔지만 용기 면은 없었다.
봉지 면과 달리 용기 면은 면이 더 빠르게 잘 익어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심은 일반 쌀에 비해 물을 20%가량 많이 흡수하는 품종과 현미를 더해 ‘콩나물뚝배기’의 면을 완성했다. 면의 표면적도 기존 쌀국수보다 50%가량 얇다. 국물은 아침 식사에 적합하도록 시원하고 깔끔한 맛을 내는 데 집중했다. 콩나물과 북어, 무 등 각종 재료를 오랜 시간 끓여 국물을 만들고 이를 수프에 담았다. 북어와 계란, 대파, 홍고추 등 고명 플레이크로 씹는 맛도 더했다.
현재 국내 아침 시장 규모는 1조원으로 추정된다. 2009년 7000억원대에서 매년 11%가량 성장하고 있다. 아침 시장을 공략하면 현재 2조원대인 라면시장도 더욱 커질 것으로 농심은 보고 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6-07-18 4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