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112주년-파워! 코리아] 우리은행, “스마트폰이 곧 은행” 생활 속 금융 꿈꾸는 위비뱅크

[창간 112주년-파워! 코리아] 우리은행, “스마트폰이 곧 은행” 생활 속 금융 꿈꾸는 위비뱅크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07-17 15:20
수정 2016-07-17 16: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지난달 위비뱅크 1주년 기념식에서 위비뱅크 마스코트인 ‘위비’를 껴안고 있다. 우리은행 제공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지난달 위비뱅크 1주년 기념식에서 위비뱅크 마스코트인 ‘위비’를 껴안고 있다.
우리은행 제공
1899년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민족자본으로 설립된 우리은행은 한국금융 발전과 글로벌 진출에 선도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고 자부한다.

금융권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1950년대 후반 미국, 일본, 유럽 등 금융 선진국의 금융기관에 직원을 파견해 새로운 금융 업무를 도입했다. 1968년엔 은행 최초로 일본 도쿄에 지점을 만들어 해외로 진출한 우리 수출기업을 지원하는 역할에 앞장서 왔다. 2002년엔 영업점의 단순 업무를 후선업무센터로 옮기는 ‘후선 집중화’(BPR)를 도입하며 금융시스템 고도화를 이끌었다. 2015년에는 국내 처음으로 해외 상장은행을 인수해 인도네시아 우리소다라은행을 출범시켰고 캄보디아 소액대출회사인 말리스를 인수해 현지 금융시장에 맞는 진출도 꾀하고 있다.

올해도 국가별 금융환경의 특성을 감안한 해외 진출 전략을 펼쳐 지난 5월 필리핀 저축은행을 인수했다. 캄보디아 1위 소액대출회사 인수전에서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는 등 올해 말까지 해외네트워크를 400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신성장사업으로 꼽히는 종합플랫폼 사업도 자리를 잡아 가는 중이다. 지난해 5월 모바일 전문은행 ‘위비뱅크’를 통해 중금리 대출을 비롯한 간편송금, 환전, 보험, 게임, 음악, 위비캐릭터, 모바일메신저 ‘위비톡’ 등을 시장에 선보였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위비뱅크는 ‘내 손안의 은행’을 뛰어넘어 스마트폰을 통해 생활과 금융을 연결시키는 종합플랫폼으로 자리매김 중”이라면서 “글로벌 진출과 맞물려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 홍콩, 일본, 브라질 등 8개국에도 진출한 상태”라고 밝혔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07-18 4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