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살벌한 맛짱] <7>크레이프

[달콤살벌한 맛짱] <7>크레이프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6-03-06 17:06
수정 2016-03-07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반죽은 전보다 얇고 노릇노릇하게 크림은 빠르게 저어 몽글몽글하게

도지마롤로 유명한 디저트 브랜드 몽슈슈의 또 다른 인기 제품으로 해피파우치가 있다. 달콤한 생크림을 부드러운 크레이프로 감싸 복주머니 형태로 만들어 촉촉하게 즐기는 맛이 무엇보다도 일품이다. 인기가 많아 단숨에 품절되지만 아쉬워할 필요는 없다. 오븐 없이도 집에서 얼마든지 비슷하게 만들 수 있다. 생크림 대신 커스터드 크림을 넣고 여러 과일을 넣어 응용해도 좋다.

이미지 확대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돈화문로 서울요리학원에서 홍희경 기자와 김진아 기자가 몽슈슈의 해피파우치를 따라잡아 봤다. 내용물을 감쌀 크레이프를 만드는 과정은 명절 때 전을 부치는 것과 비슷했다. 먼저 박력분과 소금, 설탕 등을 섞어 준 뒤 계란을 넣고 또 섞는다. 이어 따뜻하게 데운 우유를 조금씩 넣고 섞어 주면 묽은 반죽이 완성된다.

문제는 크레이프 반죽을 부쳐 내는 일이다. 얇고 노릇노릇하게 구워진 크레이프를 만들어 내는 건 쉽지 않았다. 요령은 기름으로 코팅한 프라이팬과 약한 가스불에 있었다. 중불에 달궈진 프라이팬에 전을 부칠 때처럼 기름을 흥건하게 남겨 두지 말고 프라이팬을 기름으로 코팅하듯 키친타월로 닦아 내는 게 좋다.

이미지 확대
여기에 반죽을 원형으로 살짝 부어 중불에 서서히 익힌다. 반죽이 부글부글 끓는 듯이 올라오면 살짝 손으로 들어 뒤집어야 찢어지지 않는다. 크레이프 반죽이 워낙 얇기 때문에 뒤집개로 뒤집으면 찢어질 수 있다. 크레이프를 굽는 건 주부인 홍 기자가 유리했다. 홍 기자는 명절에 자주 전을 부쳐 본 경험을 살려 능숙하게 노릇노릇한 크레이프를 만들어 냈다.

크레이프보다 더 까다로운 것은 속을 채우는 바닐라 커스터드 크림 만들기다. 일반 베이커리 가게에서 슈크림빵에 들어가는 연노란색 커스터드 크림의 관건은 너무 단단하지도 너무 무르지도 않은 그 질감에 있다.

커스터드 크림 만들기 과정 가운데 가장 어려운 부분은 여러 재료가 들어간 반죽을 크림이 될 때까지 끓여 주는 것이다. 내용물이 타지 않게 중불에서 빠르게 휘저으며 끓여 주는 게 중요하다. 처음에는 물 같았던 질감이 몇 분도 안 돼 갑자기 몽글몽글해지는 느낌이 들 때가 있다. 이때 빠르게 냄비를 불에서 떼어내야 한다. 크림이 약간이라도 타면 탄 내가 강하게 나기 때문이다.

이 커스터드 크림을 만들 때 두 기자의 운명도 갈렸다. 크레이프 만들기를 가르친 박지현 서울요리학원 강사는 김 기자에게 10점 만점에 10점을, 홍 기자에게 8점을 줬다. 박 강사는 “김 기자의 커스터드 크림은 크림이 몽글몽글해질 때 바로 냄비를 불에서 떼고 빠르게 저어서인지 바닐라의 풍미가 살고 질감이 부드러운 반면 홍 기자의 커스터드 크림은 퍼석퍼석한 느낌이 강하다”고 평가했다.

크레이프에 꼭 커스터드 크림과 과일을 넣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시중에 파는 다양한 크레이프처럼 야채 샐러드나 햄, 치즈 등을 넣고 돌돌 말아서 먹어도 한 끼 식사나 간식으로 충분해 보인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수강 문의는 서울요리학원(www.seoulcooking.net, 02-766-1044~5)
2016-03-0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