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의 잠재적 대권 주자인 민주당 정세균 최고위원이 14일 여권의 유력 대권 주자인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에게 복지정책을 놓고 공개토론하자고 제안했다.
정 최고위원은 이날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에 출연,“박 전 대표와 복지담론 및 정책에 대해 공개토론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는 “박 전 대표의 ‘한국형 복지’는 포장만 있고 내용물은 채워지지 않은 것인지 아니면 (발표)시기를 보는 것인지 모르겠으나,그런 내용에 대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근혜 복지론의 출발점이자 명분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언이 복지국가였다는 것”이라며 “그러나 박 전 대통령 시대의 저임금이나 노동탄압의 궁극적인 목표가 복지였다는 것은 견강부회”라고 재차 비판했다.
이어 “박 전 대표의 과거 ‘줄푸세’ 공약과 복지국가는 양립할 수 없다”며 “줄푸세 공약을 포기할지 등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 어떻게 포장하든 그것(한국형 복지)은 무의미하고 가짜”라고 밝혔다.
그는 또 ‘부유세 신설에 대의원 80% 이상이 찬성했다’는 정동영 최고위원의 주장에 대해 “제가 느끼는 것과 온도차가 많다”며 “복지논쟁이 세금논쟁으로 비화되면 복지정책은 뒷전으로 가버릴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정 최고위원은 이날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에 출연,“박 전 대표와 복지담론 및 정책에 대해 공개토론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는 “박 전 대표의 ‘한국형 복지’는 포장만 있고 내용물은 채워지지 않은 것인지 아니면 (발표)시기를 보는 것인지 모르겠으나,그런 내용에 대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근혜 복지론의 출발점이자 명분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언이 복지국가였다는 것”이라며 “그러나 박 전 대통령 시대의 저임금이나 노동탄압의 궁극적인 목표가 복지였다는 것은 견강부회”라고 재차 비판했다.
이어 “박 전 대표의 과거 ‘줄푸세’ 공약과 복지국가는 양립할 수 없다”며 “줄푸세 공약을 포기할지 등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 어떻게 포장하든 그것(한국형 복지)은 무의미하고 가짜”라고 밝혔다.
그는 또 ‘부유세 신설에 대의원 80% 이상이 찬성했다’는 정동영 최고위원의 주장에 대해 “제가 느끼는 것과 온도차가 많다”며 “복지논쟁이 세금논쟁으로 비화되면 복지정책은 뒷전으로 가버릴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