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166석 여당 한심하게 만든 분들 책임져야”

김종인 “166석 여당 한심하게 만든 분들 책임져야”

입력 2012-01-31 00:00
업데이트 2012-01-31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이 실세 용퇴론 가속 친박 중진도 겨냥한 듯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김종인 위원이 30일 “당을 이 상황으로 이끌어온 데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한 분들은 책임질 각오를 하는 게 가장 온당하다.”고 밝혔다.

전날 김세연 비대위원이 ‘MB(이명박 대통령) 정권 실세 용퇴론’을 재점화한 직후인 데다, 이날 당이 정강·정책 개정안을 마련한 만큼 인적쇄신 국면으로 접어드는 신호탄이 될지 주목된다.

김 비대위원은 이날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상식적인 얘기인데 책임을 지는 정치인이 아무도 없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이어 “국민이 생각할 때 166석이나 되는 정당이 이런 상황까지 도래한 것은 굉장히 한심한 상황”이라며 “(책임을 져야 하는) 본인들이 얘기를 하지 않으니 다른 사람들이 (용퇴를) 얘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용퇴론 대상에 전직 당 대표가 모두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당 대표를 했다고 책임지라는 것은 아니다.”라고 한 발 비켜섰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인적쇄신을 주저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당 화합도 생각해야 하므로 과감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는데 결국 ‘과감성 없이는 변화하는 모습을 보일 수 없다’는 의견에 따르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연이은 비대위원들의 용퇴론이 공천심사위 구성을 앞두고 친이(친이명박)계는 물론 친박(친박근혜)계 영남권 중진들까지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면서 해당 의원들은 불편한 심기가 역력했다. 한 쇄신파 의원은 “공심위 구성 시점과 맞물려 박 비대위원장의 결단까지 간접 촉구한 게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열린 의원총회에서는 당초 예상과 달리 용퇴론에 대한 갑론을박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오히려 날을 숨긴 채 정면 대응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다만 누군가 물꼬를 틀 경우 논란은 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한 친이계 의원은 “물갈이의 칼끝이 어디를 향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긁어 부스럼을 만들 수는 없는 상황 아닌가.”라면서 “공천을 무기로 협박하는 것도 아니고 정도껏 해야 한다.”면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2-01-31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