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일지

北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일지

입력 2012-12-01 00:00
업데이트 2012-12-01 18: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미 정보 당국, KH -11 군사위성 등 감시장비를 통해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옛 대포동) 미사일 기지에서 대형 트레일러와 미사일로 추정되는 물체의 이동 포착.

▲2006년 6월19일 = 美 언론, “로켓이 발사대에 장착됐으며 장거리 탄도미사일에 대한 연료주입을 끝낸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

▲2006년 7월5일 =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 발사장서 장거리 미사일(대포동 2호) 발사.

▲2009년 2월24일 = 北, “시험통신위성 ‘광명성 2호’를 운반로켓 ‘은하 2호’로 쏘아 올리기 위한 준비사업이 함경북도 화대군에 있는 동해위성발사장에서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발표.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 4월 4∼8일 로켓 발사 예고.

▲2009년 3월12일 = 北, “국제우주조약에 가입하고 국제민용항공기구(ICAO)와 국제해사기구(IMO)에 비행기와 선박의 항행 안전에 필요한 자료들을 통보했다”고 발표.

▲2009년 3월26일 = 美 언론, “북한이 대포동 2호 미사일을 화대군 무수단리 소재 발사장의 발사대에 장착했다”고 보도.

▲2009년 4월2일 = 美 언론, “북한이 장거리 로켓에 연료주입을 시작했다”고 보도. 北, 미사일 발사장 인근으로 미그-23 전투기를 이동 배치.

▲2009년 4월4일 = 北, “‘광명성 2호 위성’을 운반로켓 ‘은하 2호’로 쏘아 올리기 위한 준비가 완료됐다. 위성은 곧 발사하게 된다”고 예고.

▲2009년 4월5일 = 무수단리 발사장서 ‘은하 2호’ 로켓 발사. 조선중앙통신은 오후 3시28분 “은하 2호는 11시20분에 함경북도 화대군에 있는 동해위성발사장에서 발사돼 9분2초 만인 11시29분2초에 광명성 2호를 자기 궤도에 정확히 진입시켰다”고 발표.

▲2012년 1월8일 = 北, 조선중앙TV가 방영한 기록영화를 통해 2009년 4월5일 ‘은하 2호’ 장거리 로켓 발사 당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김정일 위원장과 함께 ‘위성 관제종합지휘소’(발사지휘소)를 찾았다고 공개.

▲2012년 3월16일 = 北, ‘광명성 3호 위성’ 탑재한 ‘은하 3호’ 운반로켓(장거리 로켓)을 4월 12∼16일께 발사할 것이라고 예고.

▲2012년 3월17일 = 北, “광명성 3호를 발사하기 위한 준비사업으로 ICAO와 IMO, 국제전기통신동맹 등에 필요한 자료들을 통보했다”고 발표.

▲2012년 4월8일 =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기지에서 장거리 로켓인 ‘은하 3호’의 1∼3단계 추진체와 탑재물 장착 모두 완료, 외신기자들에 발사대에 세워진 은하 3호 로켓 공개. 로켓 길이 30m, 최대 지름 2.4m, 중량 91t.

▲2012년 4월11일 = 北, 은하 3호 로켓에 연료 주입 시작.

▲2012년 4월13일 =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 발사장서 ‘은하 3호’ 장거리 로켓 발사. 조선중앙통신은 “조선에서의 첫 실용위성 ‘광명성 3호’ 발사가 오전 7시38분55초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진행됐다. 지구관측위성의 궤도진입은 성공하지 못했다”고 발표.

▲2012년 12월1일 = 北, 다섯 번째 장거리 로켓 발사 예고.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