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김용판 “14일 청문회 불출석”… 국정원 국조 파국 가능성

원세훈·김용판 “14일 청문회 불출석”… 국정원 국조 파국 가능성

입력 2013-08-14 00:00
업데이트 2013-08-14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野 일각, 불발 땐 전면투쟁 시사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14일 예정된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을 것이 확실시되면서 국정조사를 둘러싼 여야 간 긴장도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원 전 원장은 앞서 변호인을 통해 “14일에는 몸이 안 좋아 나가기 어렵고, 다음에 부르면 나가겠다”는 뜻을 국정원 국조 특위에 전달했고, 김 전 청장도 공판준비를 이유로 “마지막 청문회 일정인 21일 출석하겠다”며 14일 청문회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14일 청문회가 무산되면 국정원 국조특위에서 더 기대할 게 없다”, “판을 깨자”는 강경론이 나오고 있다. 국조 자체가 파국을 맞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조특위 민주당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새누리당의 반대로 (청문회를 제대로) 못하게 되면 결국 국민과 함께 직접 싸우는 일밖에 없고 그 책임은 새누리당이 져야 한다”며 ‘전면투쟁’으로 선회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또 “(청문회는) 새누리당과 원세훈, 김용판이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에 대한 청문회를 16일로 새로 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새누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은 “합의 정신에 위배된다”며 맞섰다. 29명의 증인 가운데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에 대해서는 14일, 나머지 증인들은 19일 청문회를 실시하고 이 두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은 증인과 미합의 증인을 21일 열리는 마지막 청문회에 소환하기로 합의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여야 지도부는 비교적 온건한 입장을 내보여 주목된다. 국정조사 파행을 막을 키를 쥐고 있는 민주당 지도부는 일단 법적 절차에 따라 21일까지 상황을 지켜보며 국정조사 파행을 막는 것이 득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물론 당내 강경파와 지도부 간에 충돌할 가능성도 없지 않지만 또 한번의 국정조사 파행은 민주당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 조심스럽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민주당의 16일 청문회 실시 주장에 대해 일부 긍정적 검토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새누리당은 “원세훈, 김용판 두 증인이 21일에는 출석하려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민주당을 달래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3-08-14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