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아, 더이상 눈 감지 마라

일본아, 더이상 눈 감지 마라

입력 2013-08-14 00:00
업데이트 2013-08-14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안부 피해’ 김복득 할머니 일대기 아베 등에 발송

“복을 많이 받아 잘 살라고 지어 주신 내 이름 석 자, 그러나 이 이름은 어린 소녀와 여성의 존엄을 말살한 반인륜적 전쟁 범죄인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밝혀내는 역사에 굳게 새겨질 것이다.”
고영진(왼쪽) 경남교육감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득 할머니가 13일 통영시 동호동 남망산공원에 세워진 위안부 추모비 ‘정의비’에 김 할머니의 일대기인 ‘나를 잊지 마세요’ 일본어판 책을 헌정하고 있다.
고영진(왼쪽) 경남교육감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득 할머니가 13일 통영시 동호동 남망산공원에 세워진 위안부 추모비 ‘정의비’에 김 할머니의 일대기인 ‘나를 잊지 마세요’ 일본어판 책을 헌정하고 있다.


경남도교육청이 13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가운데 국내 최고령인 김복득(96·경남 통영시) 할머니의 증언과 일대기를 기록한 ‘나를 잊지 마세요’의 일어판을 아베 신조 총리와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 등 일본 정치·교육계 지도자들에게 10권씩 보냈다고 밝혔다. 경남교육청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생생한 증언을 역사 교육 자료로 물려주기 위해 김 할머니를 여러 차례 방문, 직접 증언을 듣고 정리해 지난 3월 7일 90쪽의 책으로 발간한 ‘나를 잊지 마세요’ 한글판을 일본어로 엮어낸 것이다.

책에는 김 할머니가 22세이던 1939년 영문도 모른 채 끌려가 중국과 필리핀 등에서 1945년까지 7년에 걸쳐 강제로 위안부 일을 했던 생생한 아픔이 고스란히 담겼다. 김 할머니는 “몸서리쳐지는 일은 하루도 쉬지 않고 계속됐다.”며 “하루에 보통 10명이 넘는 군인들을 상대했으며 한 부대가 몰려오는 날엔 옷을 입거나 밥을 먹을 시간도 없었다. 기가 막히고 창피할 뿐이었다”고 증언했다. 할머니는 책에서도 “눈 감기 전에 일본의 진심 어린 사죄를 받는다면 이번 생애에서 여한이 없겠다”고 썼다.

경남교육청은 일본어판 ‘나를 잊지 마세요’를 주일 한국학교와 한국교육원, 주일 대사관 및 교민 단체, 유엔, 청와대, 여성가족부, 교육부, 관련 학회 등에도 보냈다. 일본에 800권, 유엔에 10권, 국내 기관에 150권을 발송했다.

고영진 경남교육감은 직접 창원우체국에서 국제특송(EMS)으로 책을 발송했다. 고 교육감은 발송 뒤 기자회견을 열고 하시모토 오사카 시장에게 보내는 친필 편지를 낭독하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사죄와 역사의 진실에 기초한 올바른 교육을 촉구했다.

글 사진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3-08-14 2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