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는 8일 검사 퇴임 후 법무법인 재직 시절의 사건 수임을 둘러싼 ‘전관예우’ 논란과 관련해 “부적절한 변론을 하지 않도록 노력했다”고 답변했다.
황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정의당 박원석 의원의 질문에 “(전관예우) 오해를 사지 않으려고 무던히 애를 썼고, 그런 오해를 받을 만한 것은 자제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일부 사건에 대한 변호사 선임계를 누락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제가 담당한 사건에는 선임계를 냈고, 제가 변론하지 않은 사건은 다른 담당 변호사가 선임계를 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선임계가 빠진 게 없다”고 해명했다.
그는 “수임계, 선임계는 금전과 관계가 없다. (변호사) 선임은 법무법인에 돌아가고, 거기서 담당 변호사를 정해 선임계를 내게 했다. 돈(수임료)을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 저의 이해관계와 관계가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황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정의당 박원석 의원의 질문에 “(전관예우) 오해를 사지 않으려고 무던히 애를 썼고, 그런 오해를 받을 만한 것은 자제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일부 사건에 대한 변호사 선임계를 누락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제가 담당한 사건에는 선임계를 냈고, 제가 변론하지 않은 사건은 다른 담당 변호사가 선임계를 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선임계가 빠진 게 없다”고 해명했다.
그는 “수임계, 선임계는 금전과 관계가 없다. (변호사) 선임은 법무법인에 돌아가고, 거기서 담당 변호사를 정해 선임계를 내게 했다. 돈(수임료)을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 저의 이해관계와 관계가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