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중국 정부에 불만을 드러내면서도 관계개선을 모색하는 ‘강온양면’ 전술을 구사하고 있다.
북한 외무성 군축 및 평화연구소는 12일 광복 70주년 기념보고서에서 중국 정부를 향해 “말로는 북남관계의 개선을 바란다고 하면서도 북남 사이에서 때에 따라 이편도 들고 저편도 드는 식으로 자기 안속을 차리는 외세도 있다”며 우회 비난했다.
그런가하면 “북남 사이에 합의되지 않은 그 어떤 일방적인 청탁을 들어주는 것 자체가 우리 민족 내부 문제에 간섭하고 궁극에 가서는 우리 민족의 적으로 되는 행위임을 똑똑히 알고 신중히 처신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정부에 한반도 상황과 북핵문제 등에서 남북한 사이에 줄타기를 하면서 이중적 입장을 보이지 말고 신중히 처신할 것을 노골적으로 주문한 것이다.
우리 정부가 북핵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의 지지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외교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과 한중 협력에 북한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고서는 중국 국가명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우리 인민과 항일·반미의 한 전호 속에서 함께 피를 흘리며 싸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나라들”이라며 사실상 중국을 겨냥했다.
그러나 과거 ‘대국주의’, ‘줏대 없는 나라’ 등의 표현 대신 ‘항일·반미투쟁을 함께 했다’는 전통적인 북중 혈맹관계를 언급했다는 점에서 단순히 불만 표출로만 볼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이 지난달 정전협정 체결 62주년을 계기로 1년 6개월째 삐걱거리는 북중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취한 화해 제스처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정은 제1위원장은 지난달 26일 전국노병대회 연설에서 한국전쟁에 참가한 중국인민지원군에 대해 경의를 나타낸 뒤 중국인민지원군열사능원에도 화환을 보냈다.
이어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29일 베이징 발로 중국 랴오닝(遼寧)성의 가뭄 상황을 전하는 등 한동안 외면했던 중국 뉴스를 내보내기도 했다.
북한 내부적으로도 북핵과 인권 등으로 갈수록 국제사회의 제재와 압박이 강화되는 속에서 하루빨리 중국과 관계를 복원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하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리수용 북한 외무상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 차 말레이시아를 방문한 기간에 중국 측과는 만나지 않는 등 더 이상 양국관계에서 눈에 띄는 진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우리 정부와 중국, 일본이 참여한 아세안+3 외교장관회의 의장성명에서는 북한의 최근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역내 평화·안정·안보 유지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북한 입장에서 그나마 위안이라면 9·19 공동성명의 이행과 관련해 촉구 대상을 ‘모든 당사국’이라고 적시한 것 뿐이다.
시진핑 정부는 북핵 문제에 비교적 유연한 입장을 보였던 이전 정부와 달리 북한의 비핵화에 완강한 입장을 보이고 있고 이를 둘러싼 한중 및 미중 협력 움직임도 강화되는 모양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중국 관계의 탈출구를 찾기 위해 북한이 강온 양면 전술을 구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중국을 계속 외면하고 살 기는 어렵다”며 “중국을 향해 우리하고 함께 가자며 부드럽지만 뼈있는 소리로 한반도 정책 전환을 주문한 셈”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그러나 중국 정부가 북한 비핵화 문제에 완강해 실질적으로 김정은 정권이 원하는 수준에서 관계 개선을 위한 돗자리를 펴는 게 쉽지 않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북한 외무성 군축 및 평화연구소는 12일 광복 70주년 기념보고서에서 중국 정부를 향해 “말로는 북남관계의 개선을 바란다고 하면서도 북남 사이에서 때에 따라 이편도 들고 저편도 드는 식으로 자기 안속을 차리는 외세도 있다”며 우회 비난했다.
그런가하면 “북남 사이에 합의되지 않은 그 어떤 일방적인 청탁을 들어주는 것 자체가 우리 민족 내부 문제에 간섭하고 궁극에 가서는 우리 민족의 적으로 되는 행위임을 똑똑히 알고 신중히 처신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정부에 한반도 상황과 북핵문제 등에서 남북한 사이에 줄타기를 하면서 이중적 입장을 보이지 말고 신중히 처신할 것을 노골적으로 주문한 것이다.
우리 정부가 북핵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의 지지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외교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과 한중 협력에 북한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고서는 중국 국가명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우리 인민과 항일·반미의 한 전호 속에서 함께 피를 흘리며 싸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나라들”이라며 사실상 중국을 겨냥했다.
그러나 과거 ‘대국주의’, ‘줏대 없는 나라’ 등의 표현 대신 ‘항일·반미투쟁을 함께 했다’는 전통적인 북중 혈맹관계를 언급했다는 점에서 단순히 불만 표출로만 볼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이 지난달 정전협정 체결 62주년을 계기로 1년 6개월째 삐걱거리는 북중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취한 화해 제스처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정은 제1위원장은 지난달 26일 전국노병대회 연설에서 한국전쟁에 참가한 중국인민지원군에 대해 경의를 나타낸 뒤 중국인민지원군열사능원에도 화환을 보냈다.
이어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29일 베이징 발로 중국 랴오닝(遼寧)성의 가뭄 상황을 전하는 등 한동안 외면했던 중국 뉴스를 내보내기도 했다.
북한 내부적으로도 북핵과 인권 등으로 갈수록 국제사회의 제재와 압박이 강화되는 속에서 하루빨리 중국과 관계를 복원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하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리수용 북한 외무상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 차 말레이시아를 방문한 기간에 중국 측과는 만나지 않는 등 더 이상 양국관계에서 눈에 띄는 진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우리 정부와 중국, 일본이 참여한 아세안+3 외교장관회의 의장성명에서는 북한의 최근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역내 평화·안정·안보 유지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북한 입장에서 그나마 위안이라면 9·19 공동성명의 이행과 관련해 촉구 대상을 ‘모든 당사국’이라고 적시한 것 뿐이다.
시진핑 정부는 북핵 문제에 비교적 유연한 입장을 보였던 이전 정부와 달리 북한의 비핵화에 완강한 입장을 보이고 있고 이를 둘러싼 한중 및 미중 협력 움직임도 강화되는 모양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중국 관계의 탈출구를 찾기 위해 북한이 강온 양면 전술을 구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중국을 계속 외면하고 살 기는 어렵다”며 “중국을 향해 우리하고 함께 가자며 부드럽지만 뼈있는 소리로 한반도 정책 전환을 주문한 셈”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그러나 중국 정부가 북한 비핵화 문제에 완강해 실질적으로 김정은 정권이 원하는 수준에서 관계 개선을 위한 돗자리를 펴는 게 쉽지 않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