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건, 홍용표, 김관진, 황병서(왼쪽 위쪽에서 시계방향으로)](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22/SSI_20150822211710_O2.jpg)
![김양건, 홍용표, 김관진, 황병서(왼쪽 위쪽에서 시계방향으로)](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22/SSI_20150822211710.jpg)
김양건, 홍용표, 김관진, 황병서(왼쪽 위쪽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날 회담에는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 등 남측 대표단과 황병서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 비서 등 북한 대표단이 참석했다.
회담 직후 통일부가 공개한 접촉 동영상에는 김 실장과 황 총정치국장이 미소를 지으며 서로 악수를 나누는 모습이 담겼다.
이들은 평화의 집 회담장으로 이동해 오후 6시 30분쯤부터 회담을 시작했다. 모두 미소를 띤 얼굴로 대화를 시작했지만 9시간 넘게 결론을 내지 못하고 협상을 이어갔다.
이번 회담은 최근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에 이어 서부전선 포격 도발에 따라 우리 군이 대응에 나서는 등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로 달한 가운데 극적으로 이뤄졌다.
특히 박근혜 정부 들어 최고위급 회담인 동시에 이 같은 구성도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돼, 회담의 내용과 성격에 더욱 시선이 집중됐다.
당초 회담의 내용과 관련, 우리 측은 DMZ 목함지뢰 도발과 서부전선 포격 도발에 대한 사과와 재발 방지를 요구하고, 북측은 우리 군이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을 계기로 대북 심리전의 일환으로 재개한 대북 확성기 방송의 중단을 요구할 것으로 전망됐다.
회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양측이 이같은 내용을 포함해 남북관계 전반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있지만 합의를 이루는 데 진통을 겪은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자정을 넘겨가면서까지 협상을 길게 이어갔다는 점에서 양측의 의지는 매우 강한 것으로 해석된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