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외교수장 오후 7시 ‘北핵실험 대책’ 논의

한중 외교수장 오후 7시 ‘北핵실험 대책’ 논의

입력 2016-01-08 09:25
수정 2016-01-08 14: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8일 오후 7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제4차 핵실험 대응책을 논의한다.

이에 앞서 북핵 6자회담 한중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도 오후 4시께 전화통화를 한다.

한중 외교수장과 6자회담 수석대표 간 통화는 지난 6일 이뤄진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틀만이다.

한중은 이날 통화에서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을 교환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논의가 진행되는 추가 대북제재 등 향후 대응책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윤 장관은 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중국 정부가 북한의 핵개발과 추가 핵실험에 결연히 반대해 온 점에 기초하여 앞으로 안보리 차원에서의 조치에 있어 한중 양국이 긴밀히 협조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강력한 대북제재 도출을 위해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것이라는 취지로 풀이됐다.

그러나 중국은 향후 대응방향 등과 관련해 내부적으로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만큼 중국 측이 구체적으로 어떤 입장을 밝힐지 주목된다.

윤 장관은 북한의 핵실험 직후부터 왕이 부장과 전화통화를 추진했지만, 중국 측이 내부 일정 등을 이유로 전화 통화를 미뤄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윤 장관과 왕이 부장이 원래 어제(7일) 오후 1시 통화 예정이었으나 중국 측 사정으로 연기됐고, 이후 상호 일정조정이 되면서 오늘 오후 통화하기로 됐다”고 설명했다.

한중 외교수장 간 소통이 다소 지연되는 것은 중국이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한 입장을 내부적으로 정리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 아니냐는 관측도 일각에서 제기됐다.

박근혜 대통령의 지난해 9월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으로 ‘망루 외교’를 펼치기도 한 우리 정부가 북한 핵실험과 관련한 대북제재 과정에서 중국의 적극적 역할을 끌어내야 한다는 주문이 잇따르고 있어 이날 양국 외교 채널간 전화통화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