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北엘리트 무너진다”…‘공포통치 체제동요’ 진단

朴대통령 “北엘리트 무너진다”…‘공포통치 체제동요’ 진단

입력 2016-08-22 12:41
수정 2016-08-22 12: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한이 변화하지 않으면 자멸”…일각선 ‘北 레짐체인지 염두’ 해석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북한 김정은 정권을 겨냥해 “체제 동요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라고 언급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의 엘리트인 태영호 주영국 북한대사관 공사의 망명이 최근 이뤄진 가운데 박 대통령은 이날 을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을지 국무회의에서 ‘심각한 균열 조짐’이란 표현까지 이례적으로 사용하며 북한 체제에 대해 이런 진단을 내놓았다.

박 대통령의 이런 발언은 국제사회의 제재·압박에도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고도화하고 있는 북한이 지속가능한 체제가 아니라는 인식이 반영됐다는 분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북한이 국제사회의 경고를 무시하고 계속 도발을 한다면 북한의 안보가 지켜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붕괴를 스스로 재촉하는 것”(4월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간담회)이라는 입장을 강조해왔다.

박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도 “북한이 스스로 변화하지 않으면 자멸하고 말 것이란 사실을 확실하게 깨닫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재차 경고했다.

여기에는 지난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본격화된 대북 압박·제재 정책이 효과를 발휘, 북한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평가도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월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유엔과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각국의 대북제재가 본격화하면서 최근 북한 식당 종업원들의 집단 탈북을 비롯한 여러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또, 지난 5월 우간다 방문시 “여러 나라에 외화벌이로 가있는 북한 근로자들이 자꾸 이탈해가면서 어려움을 도저히 더 견딜 수 없는 그런 상황을 우리가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북한 김정은의 공포정치로 인한 북한 주민들의 민심 이반 상황도 박 대통령이 북한 균열 조짐을 거론한 배경으로 꼽힌다.

이는 박 대통령이 이날 “지속적인 공포정치로 주민들을 억압하고 있어 북한 엘리트층조차 무너지고 있다”, “북한이 체제 유지를 위해 극단의 길을 가고 있고 핵심 엘리트층마저 이반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이 연장선에서 나온 것이란 해석이다.

나아가 박 대통령의 이번 언급이 엘리트층의 이탈과 탈북자 증가 등의 이유로 북한이 내부 단속을 위해 국면전환용 테러 및 군사적 도발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분석도 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이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한 당국과 북한 간부·주민에 대한 분리 대응을 시사한 것을 묶어 박 대통령이 이른바 ‘레짐 체인지(regime change·정권 교체)’ 가능성까지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도 일각에서 나온다.

또 태영호 공사 외에 알려지지 않은 북한 최고위층 탈북 사례가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언급은 북한 체제의 취약성을 지적하고 국면 전환을 위해 테러 도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부의 한 고위 당국자도 “태영호 공사가 최고위급이라는 게 정부 발표”라면서 “대통령 발언은 종합적 상황 판단으로 전체적으로 의미를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