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시 대북선제타격 찬성 증가…아직은 반대 우세”

“유사시 대북선제타격 찬성 증가…아직은 반대 우세”

입력 2017-01-26 11:21
수정 2017-01-26 1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산정책연구원, 2013·2016년 조사결과 비교

지난해 9월 북한의 제5차 핵실험 직후 실시한 국내 여론조사에서 유사시 대북 선제타격에 대한 지지가 3년 전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아산정책연구원이 밀워드브라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북한이 5차 핵실험을 한 9월 9일부터 10월 14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천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유사시 대북 선제타격’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그 결과 ‘전쟁위험이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50.1%로 ‘확전 가능성이 있지만 필요하다’(43.2%)는 응답보다 많았다고 연구원은 26일 밝혔다.

그러나 유사시 선제타격에 대한 여론은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원이 2013년 9월 실시한 조사에서는 ‘선제타격은 피해야 한다’는 응답은 59.1%였고, ‘필요하다’는 견해는 36.3%였다.

우리나라의 독자적 핵무기 개발에 대한 찬성 응답은 3년 사이에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60%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차 북핵실험 직후인 2013년 2월 조사에서 66.5%에 달했던 독자 핵무기 개발 찬성 응답은 작년 9월 60%로 줄었고, 반대 응답은 2013년 2월과 작년 9월 조사에서 나란히 31.1%로 집계됐다.

미국 전술 핵무기 재배치에 대해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동의하는 응답이 2013년 2월 67%에서 2016년 9월 61%로 감소했다.

한편 작년 4차 핵실험 직후인 2월과 5차 핵실험 직후인 9월 조사결과를 비교하면 ‘대북 강경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50.6%에서 42.2%로 감소했고,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와 ‘잘 모르겠다’는 비율은 증가했다.

연구원의 박지영 선임 연구위원과 김선경 연구원은 이에 대해 “4차 핵실험(작년 1월 6일) 이후 유엔제재 등 지속적 압박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9월에 다시 5차 핵실험을 감행해 정부의 강경책이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는 인식이 작용한 결과”라며 “또한 이미 강경책을 추진 중인데 현재보다 더 강경한 정책을 추진한다면 북한을 벼랑 끝으로 몰아 도발의 수위를 높일 수 있다는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