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왜 불출마 선언했나…“인격살해식 음해, 가짜뉴스에 속앓이”

반기문, 왜 불출마 선언했나…“인격살해식 음해, 가짜뉴스에 속앓이”

장은석 기자
입력 2017-02-01 17:02
업데이트 2017-02-01 17: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고개 숙인 반기문
고개 숙인 반기문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대선 불출마 기자회견을 마친 뒤 고개를 숙이고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2017.2.1 연합뉴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끝내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반 전 총장의 대선 불출마 소식이 전해지자 정치권에서는 반 전 총장이 현실 정치의 벽에 부딪혀 주저 앉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 전 총장은 지난달 12일 귀국해 대한민국의 ‘대통합’과 ‘정치교체’를 이루겠다고 밝혔다.

범여권의 유력 대선 주자로 떠올랐지만 반 전 총장은 결국 3주일 만인 1일 오후에 대선 불출마를 전격 선언했다.

반 전 총장은 이날 오전 불출마를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까지 반 전 총장의 측근들도 전혀 눈치채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 전 총장은 불출마를 결심하게 된 이유로 자신을 향해 쏟아지는 정치권의 ‘인격 살해에 가까운 음해’와 ‘각종 가짜 뉴스’를 꼽았다.

반 전 총장은 이날 불출마 기자회견에서 “일부 정치인들의 구태의연하고 편협한 이기주의적 태도도 지극히 실망스러웠고, 결국 이들과 함께 길을 가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판단에 이르게 됐다”고 말했다.

반 전 총장은 귀국 전부터 야권의 공세에 시달렸다. ‘박연차 23만달러 수수 의혹’이 대표적이다. 동생과 조카의 사기 혐의에 대해서도 전혀 몰랐고 무관하다고 해명했지만, 순수하게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퇴주잔 논란’은 반 전 총장 측이 꼽는 대표적인 ‘가짜 뉴스’ 사례다. 선친 묘소에 성묘하는 동영상이 악의적으로 편집됐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크고 작은 실수가 언론의 주목을 받으면서 입길에 오르고 조롱의 대상이 됐다.

반 전 총장은 지지율도 눈에 띄게 떨어졌다. ‘최순실 사태’ 전까지만 해도 한때 독보적인 1위를 달렸지만, 귀국 3주일이 지나면서 그의 지지율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10%대에 머물렀다.

그가 ‘러브콜’을 보낸 야권 인사들은 물론 새누리당 의원들, 심지어 고향인 충청권 의원들조차 합류를 망설이는 처지에 내몰렸다. 세(勢)가 형성되지 않으니 지지율이 반등의 계기를 잡지 못하고, 지지율이 지지부진하니 세가 형성되지 않는 ‘악순환’에 빠져든 셈이다.

이 과정에서 여야의 유력 정치인들과 만나 합종연횡을 시도했지만, 정치권에서 잔뼈가 굵은 이들을 설득하지 못하거나, 도리어 이용만 당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다만 반 전 총장이 중도하차 상황을 자초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국내 상황에 어두운 데다 준비가 미흡했다는 점은 캠프 내부에서도 인정하는 사실이다. 무소속으로 버티기에는 인력, 조직, 자금 등 모든 측면에서 압박을 받았으리라는 해석도 나온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