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총사퇴’ 초강수 꺼내 든 바른정당…진정성 통할까

‘의원 총사퇴’ 초강수 꺼내 든 바른정당…진정성 통할까

입력 2017-02-13 11:30
업데이트 2017-02-13 1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탄핵 주도 정당’으로 존재감 높이기…“보수의 가치는 책임”

“인용되면 與 의원들도 사퇴” 촉구…새누리 “물귀신 작전” 일축
이미지 확대
”탄핵 기각 시 의원직 사퇴”
”탄핵 기각 시 의원직 사퇴”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바른정당 최고위원회의. 정병국 대표가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정당이 13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 기각되면 ‘32개 금배지’를 미련없이 떼겠다며 초강수를 들고 나왔다.

정병국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탄핵 기각시 ‘의원직 총사퇴’를 결행하겠다는 뜻을 표명하고 “책임지는 정치를 구현하겠다”는 취지라고 강조했다.

헌법재판소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 승복하되, 탄핵이 기각될 경우 ‘탄핵 주도 정당’으로서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는 뜻이다.

전날 워크숍에서 총사퇴론을 제기해 의원들의 동의를 이끌어낸 홍철호 의원은 연합뉴스에 “우리가 무엇 때문에 정치를 하는지 국민에게 진정성을 보여드려야 한다는 생각이었다”고 설명했다.

바른정당 소속 의원들은 지난해 말 박 대통령 탄핵안에 찬성표를 던졌다. 이는 탄핵안의 국회 통과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들은 탄핵안 통과 직후 ‘보수의 가치를 바로 세우겠다’며 새누리당을 떠나 창당했다. 그러나 정국이 대선국면으로 급전환하면서 존재감이 약해지고 있다.

창당의 ‘컨벤션 효과’가 걷히면서 대선주자들의 지지율이 저조해지고 조직 기반도 취약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무엇보다 이념적 대결 구도에서 입지가 애매하다. 바른정당의 한 3선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탄핵 찬성’ 세력과 ‘탄핵 반대’ 세력으로 양분돼 우리가 설 땅이 좁은 게 사실”이라고 했다.

실제로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바른정당은 한자릿수 지지율에 머무르며 비교섭단체인 정의당에 뒤지는 ‘수모’를 겪었다. 고정 지지층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번 총사퇴 결의에는 ‘더 물러설 곳이 없다’는 각오가 담긴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탄핵이 인용될 경우 새누리당 의원들도 마찬가지로 사퇴할 것을 요구했다. 탄핵에 찬성하면서도 바른정당 지지를 망설이는 ‘합리적 보수층’을 끌어안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여당인 새누리당은 바른정당의 결의를 ‘정치적 쇼’로 평가절하했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사퇴 요구는 일고의 가치도 없는 물귀신 작전”이라며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 안타깝다”고 꼬집었다.

의원직 사퇴안은 국회의장이 본회의에 상정해 표결을 거친다. 결국 탄핵이 기각돼도 슬그머니 거둬들일 카드라는 게 새누리당의 시각이다.

이에 대해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정치적 고려 따위는 없다. 보수의 가치는 책임이라는 원칙을 지키겠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바른정당은 탄핵이 인용되면 지지율이 급반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분열된 보수 지지층이 구심점이 사라진 새누리당을 떠나 바른정당으로 결집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종구 정책위의장은 이날 최고위에서 새누리당을 겨냥해 “탄핵결정을 앞두고 발악하고 있다”며 “탄핵이 인용되는 즉시 해체하라”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