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미사일 이름 누가 어떻게…ICBM은 ‘북극성 3형’?

北, 미사일 이름 누가 어떻게…ICBM은 ‘북극성 3형’?

입력 2017-02-13 16:08
업데이트 2017-02-13 16: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존 미사일은 ‘화성’ 시리즈…김정은 직접 작명 가능성

북한이 12일 발사한 신형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의 이름이 ‘북극성 2형’으로 밝혀지면서 북한의 미사일 작명법에 관심이 쏠린다.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관영매체들은 13일 “우리 식의 새로운 전략무기체계인 지대지 중장거리 전략탄도탄 ‘북극성 2형’ 시험발사가 2017년 2월 12일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북한이 새 미사일에 ‘북극성 2형’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사용된 기술의 상당 부분을 지난해 8월 발사에 성공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 1형’에서 가져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미사일 발사에 북한이 그동안 많이 써온 액체 대신 고체연료를 사용한 점과 ‘콜드 론칭’(미사일이 튀어오른 뒤 공중에서 엔진에 불이 붙어 발사되는 방식) 기술이 도입된 점이 두 미사일의 공통점이다. 두 미사일이 각각 약 500㎞를 비행한 점 역시 같았다.

중앙통신도 “(김정은이) 지난해 8월 전략잠수함 탄도탄(SLBM) 수중시험발사에서 이룩한 성과에 토대하여 이 무기체계를 사거리를 연장한 지상대지상 탄도탄으로 개발할 데 대한 전투적 과업을 제시하시였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향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선보인다면 그 이름이 ‘북극성-3형’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문가의 관측이 제기된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어제 발사한 미사일은 결국 ICBM의 1단 추진체 실험이라고 보면 될 듯하다”며 “이제 북극성이라는 새로운 탄도미사일 라인이 생긴 것일 수 있으며, 북극성 3형은 ICBM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SLBM ‘북극성 1형’은 미국이 최초로 개발한 SLBM ‘폴라리스’(북극성이라는 뜻)와 이름이 같아 논란이 되기도 했다.

앞서 북한은 미사일에 ‘화성’이라는 이름을 붙여왔다. 화성 5(스커드 B, KN-03), 화성 6(스커드 C, KN-04), 화성 7(노동 1호), 화성 10(무수단), 화성 13(KN-08) 등이 있다.

북한이 어떤 이유로 미사일 이름으로 ‘북극성’, ‘화성’을 사용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여명거리와 미래과학자거리 신도시, 유람선 ‘무지개호’, 사료작물 ‘애국풀’ 등 작명(作名)을 즐기는 점으로 미뤄볼 때 김정은이 직접 미사일의 이름을 지었을 가능성이 있다.

‘화성’보다 우리에게 친숙한 ‘노동’, ‘대포동’, ‘무수단’ 등의 이름은 함경북도 노동리, 함경북도 무수단리 등 북한 지명에서 따온 것으로, 북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이름이다.

‘KN’은 ‘Korea North’의 약자로, 미국이 북한 미사일의 발견 순서에 따라 편의상 붙인 이름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