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경선 룰 협상 ‘평행선’…기한내 합의 불투명

국민의당 경선 룰 협상 ‘평행선’…기한내 합의 불투명

입력 2017-02-28 11:41
업데이트 2017-02-28 1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달 25~26일 후보 선출계획 차질 가능성…‘후보 결단’ 목소리도

국민의당 경선 룰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당의 대선후보 선출이 지연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경선 주자인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천정배 전 대표 측 대리인은 지난 22일 첫 회의에서 이달 안에 경선 룰 합의를 끝내기로 했지만, 기한인 28일에도 각 주자 측 입장이 팽팽히 맞서며 합의안 도출이 난망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탄핵 직후인 내달 중순부터 경선에 돌입해 25~26일께 대선후보를 최종 선출하겠다는 애초 계획 자체가 밀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민의당의 한 관계자는 “다음달 26일까지는 대선 후보를 뽑는다는 애초 목표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당에서는 경선 룰 협상 단계에서 잡음이 발생한다면 국민적 관심에서 멀어지고 결국 누가 뽑히든 본선 경쟁력이 약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또 내달 26일 이후로 최종 후보 선출이 밀린다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경선 관리를 맡길 수 없다는 점도 당 입장에선 부담이다.

그럼에도 각 주자 측은 경선 룰 협상에서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고 계속해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손 전 대표 측은 ‘모바일 투표’는 절대 안 된다는 입장 아래 사전 선거인단 명부 없이 100% 현장 투표로 치러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안 전 대표보다 지지율과 인지도, 당내 세력 등에서 모두 열세인 가운데 어떻게든 이번 경선을 ‘조직력 승부’로 끌고 가려는 손 전 대표의 입장에선 현장 투표 카드가 공정성 확보라는 명분을 건 승부수인 셈이다.

그러나 안 전 대표 측은 100% 현장 투표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으로, 모바일 투표는 물론 여론조사도 경선 결과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당의 지지율이 더불어민주당에 크게 밀리는 상황에서 전국민적 관심을 끄는 경선이 돼야지 문턱을 높이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100% 현장 투표는 민심과 당심의 정확한 반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천 전 대표 측은 모바일 투표에 대해서는 손 전 대표 측과 입장을 같이 하는 가운데 결선투표제를 도입해서 역전의 기회를 줘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에 이용호 대선기획단 부단장이 선거인단 모집 없이 현장 투표를 원칙으로 하되 당원을 상대로는 자동응답전화(ARS) 투표를 허용하는 중재안을 제시했지만, 각 대리인이 수용하지 않았다.

이에 대리인 협상에서 결론이 나지 않으면 결국 주자 본인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질 것으로 보인다.

당 대선기획단의 한 관계자는 “대리인 간 합의가 안 되면 후보 본인들이 직접 의견을 내게 해서 결정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