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북핵 CVID 합의 않는다면 미북정상회담 파기해야 옳아”

홍준표 “북핵 CVID 합의 않는다면 미북정상회담 파기해야 옳아”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6-07 10:24
업데이트 2018-06-07 1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북회담서 종전선언 안돼…완전한 비핵화 이후 종전선언해야”

이미지 확대
홍준표 대표, 외신기자 클럽 초청 기자 간담회
홍준표 대표, 외신기자 클럽 초청 기자 간담회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7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8.6.7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7일 “미북정상회담을 통해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에 의한 북한 비핵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회담을 중단·파기하는 것이 차라리 옳은 일”이라고 말했다.

홍 대표는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다시 적당한 수준의 합의가 이루어져 북한을 지원하게 된다면 핵과 미사일을 더 고도화시켜서 치명적인 위협을 가하게 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홍 대표는 “미국이 요구하는 핵탄두와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의 미국 내 조기 반출이 실현되기를 바란다”면서 “이는 핵 폐기에 대한 북한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홍 대표는 “북한은 2008년에도 영변 핵시설 냉각탑 폭파라는 희대의 국제쇼를 벌였다”면서 “이번에 북한이 대화의 테이블에 나와 앉은 이유도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압박과 제재의 결과이지 김정은의 선의나 자발적 의지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홍 대표는 “이번 미북회담에서 종전선언이 이루어지는 것을 결단코 반대한다”면서 “주한미군 감축이나 철수 문제 역시 결코 협상 테이블에 올려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종전선언은 완전한 비핵화의 달성 이후가 가장 좋고, 체제 보장 차원에서 불가피해도 비핵화의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진 이후에 논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국내 경제 문제에 대해 “우리나라를 발전시켜 온 시장경제 체제가 크게 흔들리는 상황”이라며 “최저임금 급등과 근로시간 단축, 귀족노조에 휘둘리는 노동시장의 경직성 강화는 경제를 절망의 나락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홍 대표는 “6월 12일 싱가포르 미북정상회담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고, 6월 13일 지방선거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짓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면서 “정부의 독주를 견제할 힘을 달라”고 호소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