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3당, 국회 정상화 방안 논의 진통…입장차만 확인

여야 3당, 국회 정상화 방안 논의 진통…입장차만 확인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2-01 17:25
업데이트 2019-02-01 17: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한국·바른미래 원내대표 회동…손혜원·김태우 국조 및 특검 이견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자유한국당 나경원, 바른미래당 김관영 등 교섭단체 3당 원내대표들은 1일 여의도에서 오찬을 함께하고 2월 임시국회 정상화 방안을 포함한 정국 현안을 논의했다.

홍 원내대표는 연합뉴스 통화에서 “만난 것은 사실이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며 “계속 접촉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2월 국회에서 탄력근로제 등 해야 할 일이 많은 건 사실이나, 여러 의혹을 푸는 부분에 대해 (여당이) 이야기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우리 요구를 다시 말했다”며 “우리 요구 사항에 대해 여당의 응답이 있어야 한다.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했다.

김 원내대표는 통화에서 “원내대표들끼리 만나 대화를 했지만 원만한 협의를 이루지 못했다”며 “설 연휴 기간 계속 논의해 보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동에서 야당은 무소속 손혜원 의원의 목포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김태우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원의 폭로와 관련한 특검 등을 요구했지만 민주당은 불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김 원내대표는 조해주 중앙선거관리위원에 대한 해임촉구결의안 절차를 진행하자는 중재안을 거듭 제시했지만, 민주당이 수용하기 어렵다는 방침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원내대표는 앞서 이날 오전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과 한국당의 정쟁과 적대적 대결 때문에 국회가 한 발짝도 못 나가고 있다”며 조 위원에 대한 해임촉구결의안을 매개로 국회를 정상화하자고 제안했다.

민주당 원내 관계자는 이에 대해 “해임촉구결의안에 찬성할 것이면 애초에 임명을 하지도 않았다”며 “받아들일 수 없는 요구”라고 가능성을 일축했다.

국회법상 2월 임시국회는 자동 소집되는 만큼 여야가 설 연휴를 넘겨 의사일정에 합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현안을 둘러싼 입장차가 현격해 절충점을 찾기까지는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한국당은 국회의장과 여야 5당 대표단 방미 일정을 2월 임시국회 정상화와 연동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압박에 나선 모양새다.

나 원내대표는 기자들에게 “경제·안보 등 모든 이슈가 다 얽혀 있는 상황인데, 국회 문제가 풀려야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