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여름휴가 안가기로…北도발·日수출규제 등 현안 산적

文대통령, 여름휴가 안가기로…北도발·日수출규제 등 현안 산적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7-28 13:51
업데이트 2019-07-28 1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집무실서 정상근무…文대통령 “직원 휴가 영향 없도록” 내일 수보회의 미개최집권 3년 차 文대통령 여름휴가 안 가는 것은 처음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집권 3년 차를 맞은 올해 여름휴가를 가지 않기로 했다고 청와대가 28일 밝혔다.

문 대통령이 여름 휴가를 가지 않는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유송화 춘추관장은 이날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문 대통령은 7월 29일부터 8월 2일까지 예정된 하계휴가를 취소하고 집무실에서 정상 근무한다”고 공지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직원들의 예정된 하계휴가에 영향이 없도록 하라”고 당부했고, 이에 따라 29일 정례 수석·보좌관 회의는 열리지 않는다고 유 관장은 전했다.

문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여름 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것은 일본의 수출 규제조치,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 러시아의 독도 영공 침범 등은 물론 광주 클럽 구조물 붕괴 참변 등 국내외 현안이 산적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여름 휴가를 떠났다 30일 복귀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다음 달 초 각의를 열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법령 개정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정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세계수영선수권대회 폐막을 하루 앞둔 전날 새벽 광주에서 발생한 붕괴 사고로 18명의 사상자(2명 사망)를 낸 것도 문 대통령에겐 적지 않은 부담이다.

휴가철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자체도 큰 사안이지만 부상자 중에는 이번 대회에 참가한 외국인 선수 8명이 포함돼 있어 국제적으로도 문제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문 대통령은 작년과 재작년에는 모두 5일의 여름휴가를 다녀왔다.

작년에는 충남 계룡대 등에서 지내면서 대전의 명소인 장태산 휴양림 산책 및 인근 군 주요시설 시찰했고, 재작년엔 평창동계올림픽 홍보 차 평창에서 하루 묵은 뒤 경남 진해를 방문해 잠수함사령부를 방문하고 해군사관생도들을 격려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