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DMZ 돼지열병 항공방역 끝내…민통선지역 계속

軍, DMZ 돼지열병 항공방역 끝내…민통선지역 계속

김태이 기자
입력 2019-10-07 10:58
업데이트 2019-10-07 1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부는 지난 2일 경기도 연천군 내 비무장지대(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바이러스가 검출된 멧돼지. 환경부 제공
환경부는 지난 2일 경기도 연천군 내 비무장지대(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바이러스가 검출된 멧돼지.
환경부 제공
국방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항공 방역과 관련해 비무장지대(DMZ) 안은 끝냈고, 민간인통제선(민통선) 지역은 계속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노재천 국방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비무장지대 항공 방역은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산림청 헬기 7대 등을 동원해 완료했다”고 말했다.

노 부대변인은 “민통선 이북부터 남방한계선 이남 구간에 대한 항공 방역은 오늘 기상을 고려해 실시할 예정”이라며 “경기 연천지역은 방역 헬기 정비를 고려해 오늘 하루 시행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최근 경기 연천 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농림식품축산부, 산림청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지난 4일부터 접경지역에 대한 헬기 방역을 시작했다.

이번 항공 방역을 위해 국방부는 유엔군사령부와 협의해 북한 측에 관련 계획을 통보했다.

한편 국방부는 제18호 태풍 미탁 피해지역의 토사 제거 등을 위해 이날 병력 2천503명, 장비 125대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군은 지금까지 병력 1만200여명, 장비 434대를 동원해 태풍 피해 복구를 지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