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 범보수 대선후보 적합도
김 “가장 좋은 건 대통령 빠른 복귀”전체 25%… 1위에도 출마 설왕설래
‘탄핵 찬성파’ 유 2위, 보수층서 밀려
당심·민심 확연히 갈려 전략 다각화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0/SSC_20250210181038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0/SSC_20250210181038_O2.jpg.webp)
‘조기 대선’이 금기어가 됐지만 당심과 민심을 둘러싼 국민의힘 주자들의 물밑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급부상에 이어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보수층에서 지지율 2위를 차지한 여론조사 결과도 10일 나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일극 체제’가 굳건한 야권과 달리 여권에서는 ‘범보수 다극화’로 여론의 관심을 모을 것이란 기대도 커지고 있다.
김 장관은 지난 6~7일 리얼미터의 범보수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95% 신뢰 수준에 오차 범위 ±3.1% 포인트·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에서 전체 유권자(25.1%) 가운데 보수층(45.0%), 진보층(19.9%), 국민의힘 지지층(45.2%)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당원 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의힘 당헌에 단순 대입하면 현재는 김 장관이 1위라는 계산이 나온다. 김 장관의 출마 가능성에 대해선 설왕설래가 계속되고 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당정 협의 후 “제일 좋은 건 대통령이 빨리 복귀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면서 “일하겠다는 것도 못 하게 막으면서 먹사니즘, 잘사니즘은 뭔가”라며 이 대표를 견제하기도 했다. 오는 14일 교육·문화·사회 대정부 질문에서는 본회의장에서 야당 의원들과의 설전도 예상된다.
유 전 의원도 유권자 전체(11.1%)와 중도층(14.6%) 조사에서 김 장관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계엄과 탄핵소추에 ‘극과 극’ 입장을 가진 두 사람이 1, 2위에 오른 것이다. 다만 유 전 의원은 보수층(5.1%)과 국민의힘 지지층(1.6%)에서는 순위가 밀린다. 이를 두고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민주당 지지층이 유 전 의원을 원한다고 하기엔 진보층 여론도 김문수가 1위 아니냐”며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전체(10.3%), 보수층(14.3%), 중도층(9.9%) 등에서 모두 톱3에 들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보수층(12.3%), 국민의힘 지지층(13.1%)에서 두 자릿수를, 한동훈 전 대표는 모두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잠재 후보들의 여론조사 성적이 당심과 민심, 중도와 보수 지지에서 갈리면서 물밑 전략도 다각화가 뚜렷하다. 오 시장은 12일 국회에서 지방분권형 개헌 토론회를 열고 서울에서 대한민국 전체로 지지세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지지율 부진에 등판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는 한 전 대표의 경우 ‘원외 친한(친한동훈)계’가 전면에 나섰다.
아직 여론조사에 잡히지는 않으나 이철우 경북지사의 대권 도전도 임박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8일 동대구역 탄핵 반대 집회에 올랐던 이 지사는 홍 시장이 독점했던 대구·경북(TK) 맹주 역할을 양분할 수 있다. 여기에 나경원·윤상현·김기현 의원 등 당내 ‘배지 잠룡’도 출격을 대기 중이다.
2025-02-1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