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이 지난해 3월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고위급 회담을 갖기로 미국과 합의하고 일정까지 확정했던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외교소식통은 25일 “지난해 3월 김 부상이 전미외교정책협의회(NCAFP) 등의 초청으로 뉴욕을 방문하려다가 천안함 사건으로 무산된 사실만 알려졌으나, 사실은 당시 뉴욕을 거쳐 워싱턴까지 와서 미 정부의 주요 인사들을 만나기로 돼 있었다.”고 말했다.
북한의 방미 외교에서 뉴욕과 워싱턴은 천양지차다. 뉴욕은 북한의 유엔대표부가 있기 때문에 국제 외교 무대라는 인상을 주지만 워싱턴은 그야말로 미국 정치의 심장부다. 지금까지 워싱턴을 방문한 북한 당국자는 2000년 10월에 온 조명록 북한 인민군 차수가 유일하다. 당시 조명록 차수는 빌 클린턴 대통령을 만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하고 북·미 공동 코뮈니케를 체결했다. 이로써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의 북한 방문이 실현됐고, 클린턴 대통령의 방북까지 추진되는 등 북·미관계가 급진전된 바 있다.
지난해 3월은 6자회담 재개와 남북정상회담 개최 분위기가 한창 무르익었을 때라는 점에서 북·미가 김 부상의 방미를 통해 전면적인 관계 개선을 꾀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갑작스러운 천안함 사건으로 물거품이 됐다. 소식통은 “정황상 천안함 사건은 군부 등 북한의 강경파가 외교 라인 등 유화파 득세 기류에 위기감을 느끼고 도발을 감행한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주말 다시 방미하기로 돼 있는 김 부상은 워싱턴에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지난해 천안함 사건으로 뒤통수를 맞은 미국으로서는 북한에 대한 불신이 해소되지 않아 방미 지역을 뉴욕으로 국한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김 부상의 이번 방미를 ‘탐색적 대화’로 규정하고 북한의 진의를 떠보는 차원임을 시사했다. 하지만 지난해의 사례는 북한의 태도에 따라 워싱턴 방문 등 북·미관계가 급진전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북한의 방미 외교에서 뉴욕과 워싱턴은 천양지차다. 뉴욕은 북한의 유엔대표부가 있기 때문에 국제 외교 무대라는 인상을 주지만 워싱턴은 그야말로 미국 정치의 심장부다. 지금까지 워싱턴을 방문한 북한 당국자는 2000년 10월에 온 조명록 북한 인민군 차수가 유일하다. 당시 조명록 차수는 빌 클린턴 대통령을 만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하고 북·미 공동 코뮈니케를 체결했다. 이로써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의 북한 방문이 실현됐고, 클린턴 대통령의 방북까지 추진되는 등 북·미관계가 급진전된 바 있다.
지난해 3월은 6자회담 재개와 남북정상회담 개최 분위기가 한창 무르익었을 때라는 점에서 북·미가 김 부상의 방미를 통해 전면적인 관계 개선을 꾀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갑작스러운 천안함 사건으로 물거품이 됐다. 소식통은 “정황상 천안함 사건은 군부 등 북한의 강경파가 외교 라인 등 유화파 득세 기류에 위기감을 느끼고 도발을 감행한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주말 다시 방미하기로 돼 있는 김 부상은 워싱턴에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지난해 천안함 사건으로 뒤통수를 맞은 미국으로서는 북한에 대한 불신이 해소되지 않아 방미 지역을 뉴욕으로 국한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김 부상의 이번 방미를 ‘탐색적 대화’로 규정하고 북한의 진의를 떠보는 차원임을 시사했다. 하지만 지난해의 사례는 북한의 태도에 따라 워싱턴 방문 등 북·미관계가 급진전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7-26 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