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로켓 공중폭발] 업그레이드 된 軍 레이더 감시시스템

[北로켓 공중폭발] 업그레이드 된 軍 레이더 감시시스템

입력 2012-04-14 00:00
업데이트 2012-04-1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피스아이, 수평선 위 올라온 로켓 바로 포착-세종대왕함 레이더 900개 목표물 동시 추적

지난 2009년과 비교했을 때 북한의 로켓 궤적을 추적하는 우리 군의 능력은 눈에 띄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13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 “미사일 발사 이전 단계부터 군은 이지스함을 서해에 배치했고, 오전 7시 39분쯤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고 나서 1분 이내에 거의 실시간으로 (궤적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어 “한·미 양국이 공조한 결과도 있지만, 발표는 한국군이 가장 먼저 했다.”면서 “수년내 우리 군이 자체 미사일 요격시스템을 개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우리 군의 북한 장거리 미사일 추적 시스템은 2009년 은하 2호 로켓 발사 당시보다 진일보된 것으로 평가된다. 군의 한 관계자는 “2009년 4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추적 당시 세종대왕함은 실전에 배치되자마자 투입돼 장비가 완전히 갖춰지지 않은 상황이었다.”면서 “세종대왕함은 2010년 10월 이지스 전투체계를 완비하고 레이더와 대공미사일을 모두 갖춰 거미줄 같은 방어망을 자랑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세종대왕함이 지닌 SPY1D레이더는 최대 1054㎞ 거리의 목표물을 탐지할 수 있으며 900개의 목표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다.

우리 군은 지난해 9월 조기경보통제기 ‘피스아이’(E737)를 도입해 세종대왕함과 함께 레이더 감시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이 비행기는 한국 공군의 ‘천리안’으로 불리며 360도 전 방위 수색이 가능하고 탐지거리가 최소 반경 370㎞에 달해 한반도 전역을 통제권에 둘 수 있다. 한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의 레이더 탐지능력인 180㎞의 두 배가 넘는다. 또 공중에서 날아다니며 레이더를 가동하기 때문에 고정된 레이더에 비해 생존성이 높으며 지형이나 방해물 탓에 탐지할 수 없는 공간도 탐지를 할 수 있다. 실제로 이날 북한이 로켓을 발사한 뒤 탐지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린 것은 지구가 둥글기 때문이었으며, 로켓이 수평선 위로 올라오자 마자 우리 군은 궤적을 바로 확인할수 있었다.

군사 전문가인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북한의 동창리 로켓 발사장 같은 경우 주위에 산이 있고 세종대왕함의 탐지권역 안에도 황해도의 산악지역이 막고 있는 형국”이라며 “해상에 있는 세종대왕함이 탐지하기 어려운 수평선 너머의 발사 궤적을 피스아이(E737)가 공중에서도 감시하고 실시간 같이 확인하는 연계보완체제를 이뤘다.”고 평가했다.

하종훈·이성원기자 artg@seoul.co.kr

2012-04-14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