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운명은] 잔류 7명 매개로 공단 정상화 대화 여지 남아

[개성공단 운명은] 잔류 7명 매개로 공단 정상화 대화 여지 남아

입력 2013-05-01 00:00
업데이트 2013-05-0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제해결 어떻게… 北 반응

개성공단에 남은 최후의 우리측 인원 7명이 남북 간 마지막 대화 채널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들이 개성공단에 남은 이유는 북한과 밀린 임금, 세금 등을 정산하기 위해서지만 미수금 협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개성공단 정상화 문제가 거론될 수도 있어 대화의 여지는 아직 남은 상태다.

이들 가운데 이명박 정부 초기 통일부 차관 출신 홍양호 개성공단관리위원장의 역할에도 관심이 쏠린다. 당국 간 대화는 아니지만 북한과의 협상 경험이 있는 그가 남북 대화의 불씨를 살릴 메신저가 될 수 있다는 기대에서다.

30일 한·미 연합 독수리연습이 종료돼 한반도 긴장이 한풀 꺾인 상황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불과 일주일 앞두고 북한이 먼저 미묘한 태도 변화를 보일 수도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미수금 문제를 해결하며 우리 기업의 완제품 반출도 요구하겠지만 기본적인 목표는 개성공단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입주 기업들의 방북 노력도 계속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개성공단 정상화 문제까지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실무자들이 논의하는 것은 여건상 안 된다”며 “이 문제는 북한이 책임 있는 당국 간 회담에 임한다고 하면 해결되는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실무자 5명은 이날도 미수금 지급과 관련한 실무협상을 계속했지만 입주기업마다 미지급한 임금과 세금이 제각각이어서 정확한 금액 추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도 응당 받아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인 만큼 큰 원칙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정공법으로 해결하려 한다”며 “내일(5월 1일) 귀환은 어렵지만 장기화되는 분위기는 아니다”고 전했다. 정부는 자금난에 빠진 입주기업 대신 임금을 대납하고 추후 청구하는 등 여러 가지 대안을 열어 놓고 검토 중이다.

한편 북한 기관지 민주조선은 이날 개인 필명의 논평으로 “남한 정부가 개성공단에서 인원을 철수하든 말든 개의치 않는다”면서 “다만 남한 정부가 개성공단을 완전히 깬다면 민족이 절대로 용서치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5-01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