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동맹은 찰떡공조로 강화”
김 실장 “中 반대해도 사드 배치”소녀상·KADIZ 침범은 협의 안해
![김관진(왼쪽)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행정부의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내정된 마이클 플린 예비역 육군 중장이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만나 회담하기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주미대사관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1/11/SSI_20170111181347_O2.jpg)
주미대사관 제공
![김관진(왼쪽)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행정부의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내정된 마이클 플린 예비역 육군 중장이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만나 회담하기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주미대사관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1/11/SSI_20170111181347.jpg)
김관진(왼쪽)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행정부의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내정된 마이클 플린 예비역 육군 중장이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만나 회담하기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주미대사관 제공
주미대사관 제공
김 실장은 10일 워싱턴DC 주미 대사관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갖고 “전날 플린 내정자와 만나 북한 핵을 결코 용인할 수 없으며 이런 전제하에 강력하고 실효적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이 셈법을 바꿔 비핵화의 길로 나오도록 하는 것이 긴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이를 위해 빈틈없는 한·미 공조를 지속해 나가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특히 플린 내정자는 “대북 제재 이행에 있어 제재를 회피하거나 위반하는 그 어떤 행위도 용납돼서는 안 된다”며 “대북 제재에 있어 중국의 적극적 동참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만큼 한·미가 중국을 견인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밝혔다고 김 실장이 전했다.
양측은 또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차질 없이 추진한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북핵 위협에 따른 한·미 협력이 트럼프 정부에서도 이어질 것임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사드 배치 관련 중국의 위협에 대해 김 실장은 “미국도 중국에 더 얘기를 할 것이라 했고 이에 대해 (한·미 간) 공조할 것”이라고 전하고 “중국이 반대하더라도 상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김 실장은 중국의 사드 관련 위협이나 ‘부산 위안부 소녀상’에 대한 일본의 보복 조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협의하지 않았다고 밝혀 안보적으로 취약한 시기에 한·미 간 현안들을 원론적 수준으로만 다룬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근 일본 정부 관계자들이 잇달아 방미, 플린 내정자 등과 만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을 적극 전달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미흡한 대응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김 실장은 “안보 현안을 주로 얘기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김 실장은 또 최근 벌어진 중국 군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침범에 대해서도 “최근 나온 얘기라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결국 사드 배치로 촉발된 한·중 대립 및 소녀상을 둘러싼 한·일 갈등 등 현안에 대해 트럼프 측의 협력을 이끌어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7-01-12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