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막 당일 정상급 위한 리셉션
美 펜스 부통령·中 한정 상무위원4강 정상 중엔 日 아베만 참석
위안부 합의·북핵 논의 가능성
北 김여정·美 이방카 방한도 촉각
문재인 대통령이 평창동계올림픽(2월 9~25일)을 계기로 방한하는 21개국 26명의 정상급 인사와 연쇄 ‘평창외교전’을 펼친다. 문 대통령은 평창올림픽 개막 당일인 다음달 9일 정상급 외빈을 위한 리셉션을 주최하는 한편 독일, 슬로베니아, 유엔사무총장을 비롯한 14개국 정상급 인사와 오·만찬을 겸한 별도 회동을 한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1/29/SSI_20180129173958_O2.jpg)
AP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1/29/SSI_20180129173958.jpg)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애초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올 것으로 알려졌지만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4강 정상 중에선 아베 신조 일본 총리만 참석한다. 한·일 양국은 다음달 9일 평창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한·일 위안부 합의, 북한 핵 문제가 핵심 의제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1/29/SSI_20180129174035_O2.jpg)
AP 연합뉴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1/29/SSI_20180129174035.jpg)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한정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1/29/SSI_20180129174105_O2.jpg)
EPA 연합뉴스
![한정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1/29/SSI_20180129174105.jpg)
한정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EPA 연합뉴스
EPA 연합뉴스
어떤 형식으로든 평창에서 북·미 접촉이 성사된다면 이를 가교 삼아 남북 대화에 이은 북·미 대화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북한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정치국 후보위원을 파견하고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장녀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선임고문을 보낸다면 ‘북·미 여성 실세’의 만남이 성사될 수도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가족이 포함된 고위대표단을 파견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들 외에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 칼 구스타브 16세 스웨덴 국왕,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 등 정상급 외빈들도 평창동계올림픽과 관련해 한국을 찾는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8-01-3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