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6자회담 경험 외무성 출신’ 통보한 듯
외무성 美담당국장 권정근 등 가능성도2~3주 내에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에 미국 측 실무협상 대표인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의 북측 카운터파트는 누가 될지 관심이 쏠린다.
3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달 30일 판문점 남북미 정상 회동 당시 실무협상 대표를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무협상 대표는 과거 북핵 6자회담에 관여한 경험이 있는 외무성 출신 인사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지난달 30일 판문점 회동에 등장한 권정근 외무성 미국담당국장 등 외무성 현역 관료가 협상 대표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날 북미 정상 간 회담에 리용호 외무상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함께 배석했고, 이후 폼페이오 장관이 “우리의 카운터파트로 외무성을 상대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최선희 제1부상은 실무협상 대표보다는 실무협상을 지휘하는 역할을 맡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북한에서 장관급인 국무위원에 지난 4월 임명된 최 제1부상과 차관보급인 비건 대표는 협상 파트너로서 격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각별한 신임을 받는 최 제1부상이 지난해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나 지난달 30일 리 외무상을 대신해 차기 북미 정상회담에 배석하거나 특사로 파견되는 등 북미 협상을 총괄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면 1990년대 북미 제네바 협상이나 2000년대 6자회담에서 북한은 부상급(차관급), 미국은 차관보급이 협상 대표를 맡은 전례에 비추어 최 제1부상이 비건 대표의 카운터파트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과 미국은 정부 체계가 다른 만큼 직위를 액면 그대로 맞추기 어렵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비건 대표에게 많은 권한을 준다면 북한도 격에 구애받지 않고 최 제1부상을 내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9-07-04 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