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회담을 열고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이 회담하는 것은 2019년 4월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스푸트니크 제공] 2023.09.1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C_20250205132339_O2.jpg.webp)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회담을 열고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이 회담하는 것은 2019년 4월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스푸트니크 제공] 2023.09.1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C_20250205132339_O2.jpg.webp)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회담을 열고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이 회담하는 것은 2019년 4월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스푸트니크 제공] 2023.09.13
지난해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 주민의 수가 1만 3000여명으로, 전년 대비 12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5일 러시아 연방통계청의 최신 자료를 인용해 2024년 한 해 동안 러시아에 입국한 북한 주민이 1만 3221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2023년 1117명 대비 12배 증가한 것이자,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2만 1000명)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방문 목적으로 보면 교육이 7887명으로 가장 많았고, 사업 3098명, 운송차량 1648명, 개인사 286명, 경유지 234명, 관광 53명, 업무 15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을 이유로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 주민이 지난 2012년(6636명) 이후 가장 많았는데, 실제로는 교육이 아닌 불법 노동자 파견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제사회에서는 북한 당국이 해외 노동자 파견을 금지한 유엔 대북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유학생 비자로 위장해 러시아로 노동자를 불법 파견하고 있다는 우려가 지속해 제기돼 왔다. 미국 의회조사국은 2020년 1월 보고서에서 러시아에서 북한 노동자가 취업이 아닌 관광과 학생 비자 등 방식으로 체류 신분을 변경해 머무르고 있다고 지적했고 통일부도 지난해 8월 같은 추정을 내놨다.
한편 지난해 북한을 방문한 러시아인은 6469명으로 1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관광 목적이 약 2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사업 1500명, 개인사 700명 등으로 집계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