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윤기
홍윤기 기자
안녕하세요. 팩트와 공정 보도를 추구하는 서울신문 홍윤기 기자입니다.
최신 뉴스
  • 찬란한 서울의 밤

    찬란한 서울의 밤

    서울의 밤이 반짝입니다. 아파트 창마다 켜진 불빛이 모여 도시를 환하게 밝힙니다. 정부는 6·27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지만, 시장은 여전히 안갯속입니다. 집값은 좀처럼 내려갈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그 많은 불빛 속, 우리는 어디에 머물 수 있을까요.
  • 민생 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 시작

    민생 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 시작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된 21일 서울 동작구 대방동주민센터 작은도서관에서 직원이 신청자에게 쿠폰을 전달하고 있다.신청 첫 주인 21∼25일에는 시스템 과부하와 주민센터 혼잡 방지를 위해 출생 연도 끝자리 기준 요일제를 운영한다. 끝자리 1·6은 월요일, 2·7은 화요일, 3·8은 수요일, 4·9는 목요일,
  • 검은 숲, 그 틈에 초록

    검은 숲, 그 틈에 초록

    불길이 지나간 주왕산 능선. 재로 덮인 땅이 긴 침묵에 잠긴 사이 작은 초록 하나가 조용히 숨을 틔웁니다. 검은 숲 너머 아직도 복구는 이어지고, 폐허가 된 마음에도 언젠가 말없는 생이 스며들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천년고찰, 아직 닿지 못한 손길

    천년고찰, 아직 닿지 못한 손길

    경북 의성 등운산 자락. 천년 역사의 고운사 전각 18채가 지난 산불로 잿더미가 됐습니다. 연수전, 가운루, 극락전, 명부전 등 화마는 법당의 단청과 고운 곡선을 순식간에 삼켜버렸습니다. 석달이 지난 현재 남은 건물과 파편 사이로 연둣빛 풀들이 조심스레 고개를 내밉니다. 복구는 아직 멀었지만, 자연은 묵묵히 다시
  • 눈감은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

    눈감은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영호 위원장에게 선서문을 제출한 후 눈을 질끈 감은 채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여권에서도 임명 불가 여론이 커지는 가운데 이 후보자는 이날 자녀 불법 조기 유학 논란 등과 관련해 고개를 숙였다.
  • 답하고 또 답하다...이진숙의 길고도 고된 청문회

    답하고 또 답하다...이진숙의 길고도 고된 청문회

    [포토多이슈] 사진으로 다양한 이슈를 짚어보는 서울신문 멀티미디어부 연재물16일 국회에서 열린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하루 종일 이어진 질의와 해명의 반복 속에서 진행됐다.검은 정장 차림의 후보자가 회의장에 들어서자 수십 명의 취재진이 셔터를 눌렀고, 청문회장은 순식간에 플래시로 가득
  • 답변하는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

    답변하는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정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검찰의 수사·기소권 분리 문제를 매듭지어야 할 때”라며 이재명 정부의 핵심 공약이자 국정 과제인 검찰 개혁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다.
  • ‘관세 테이블 위의 미국산 소고기’

    ‘관세 테이블 위의 미국산 소고기’

    미국이 수입 확대를 요구한 품목으로 미국산 소고기와 쌀 등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농업인단체의 반발 움직임이 거세지는 가운데 15일 서울 시내 한 대형 마트에 미국산 소고기가 진열돼 있다.
  • 기재위원장 당선 축하받는 임이자 의원

    기재위원장 당선 축하받는 임이자 의원

    임이자 신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이 10일 국회에서 열린 제427회국회(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동료의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임 의원은 총 투표수 242표 중 210표 찬성으로 선출됐다.임 의원은 당선 소감에서 “오늘날 국회는 대화와 타협은 실종되고 오직 숫자의 힘에만 의존하는 숫자 민주주의가 국회를
  • ‘부채로는 막을 수 없는 더위’

    ‘부채로는 막을 수 없는 더위’

    열대야와 폭염이 연일 이어지는 가운데 9일 서울 동작구 남성시장에서 한 시민이 부채로 햇빛을 가리고 있다.전국적으로 기록적인 무더위가 찾아온 8일 하루에만 온열질환자가 200명을 넘어섰다. 역대 가장 뜨거웠던 해로 불리는 2018년 이후 7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하루에 온열질환자가 200명을 넘은 것은 최악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