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동구청이 직원을 특별채용하면서 간부 직원들의 친인척을 대거 합격시켰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24일 동구에 따르면 구는 지난 2007년부터 현재까지 무기계약직 및 기능직 공무원 24명을 채용했다.
구는 법규에 따라 인터넷으로 채용공고를 띄운 뒤 지원자를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면접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가렸다.
그런데 지난 4년간 합격자 가운데 간부 직원의 친인척이나 지인들이 20% 이상을 차지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특혜인사 논란이 불거졌다.
논란이 된 합격자들은 무기계약직에 합격했던 당시 모 국장의 사위와 3선에 도전하는 유태명 현 동구청장 선거캠프 인사의 아들,기능직에 합격한 민주당 광주시당 관계자의 아들 등이다.
또 기능직 등에 합격한 현직 계장의 동생과 지방선거 참여를 이유로 최근 사퇴한 모 주민자치위원장의 아들에 대해서도 특혜시비가 일고 있다.
이들은 월 140만~200만원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를 제기한 측은 “채용 과정이 합격자를 이미 정해두고 다른 지원자를 들러리 세우는 요식행위에 불과했다”며 “구청장이 지방선거를 염두에 두고 측근 챙기기를 위한 인사를 한 것은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구청측은 “논란이 된 합격자들의 직무는 운전,가로수 정비,인쇄 등으로 일반인들에게 인기가 없는 자리였다”며 “정해진 절차에 따라 각 실과에서 필요한 인물들을 골라 뽑았지 특혜 주장은 말도 안 된다”고 반박했다.
동구는 “합격자 중에는 직원들의 추천으로 지원한 사람이 많았겠지만,이들은 모두 외부 인사가 포함된 인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친 사람들”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24일 동구에 따르면 구는 지난 2007년부터 현재까지 무기계약직 및 기능직 공무원 24명을 채용했다.
구는 법규에 따라 인터넷으로 채용공고를 띄운 뒤 지원자를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면접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가렸다.
그런데 지난 4년간 합격자 가운데 간부 직원의 친인척이나 지인들이 20% 이상을 차지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특혜인사 논란이 불거졌다.
논란이 된 합격자들은 무기계약직에 합격했던 당시 모 국장의 사위와 3선에 도전하는 유태명 현 동구청장 선거캠프 인사의 아들,기능직에 합격한 민주당 광주시당 관계자의 아들 등이다.
또 기능직 등에 합격한 현직 계장의 동생과 지방선거 참여를 이유로 최근 사퇴한 모 주민자치위원장의 아들에 대해서도 특혜시비가 일고 있다.
이들은 월 140만~200만원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를 제기한 측은 “채용 과정이 합격자를 이미 정해두고 다른 지원자를 들러리 세우는 요식행위에 불과했다”며 “구청장이 지방선거를 염두에 두고 측근 챙기기를 위한 인사를 한 것은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구청측은 “논란이 된 합격자들의 직무는 운전,가로수 정비,인쇄 등으로 일반인들에게 인기가 없는 자리였다”며 “정해진 절차에 따라 각 실과에서 필요한 인물들을 골라 뽑았지 특혜 주장은 말도 안 된다”고 반박했다.
동구는 “합격자 중에는 직원들의 추천으로 지원한 사람이 많았겠지만,이들은 모두 외부 인사가 포함된 인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친 사람들”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