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사현장 하얼빈시 소설·오페라로 재조명 열기
│하얼빈 박홍환특파원│“중국과 한국이 공동으로 안중근 의사 영화를 만들면 어떨까요. 그의 숭고한 정신을 한국인과 중국인 모두가 기억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가 아닐까요.”![](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3/26/SSI_20100326011043.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3/26/SSI_20100326011043.jpg)
안 의사 거사 현장인 헤이룽장성 하얼빈에서 ‘안중근 전문가’를 만나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안 의사를 오페라 무대에 올리고, 소설의 주인공으로 만든 게 그들이었다. 중국인들의 마음속에 안 의사는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정의의 화신’으로 남아 있었다. 사실 안 의사 거사 소식을 맨 처음 전한 것이 서울신문의 전신인 대한매일신보와 많은 중국 신문들인 만큼 의아한 일도 아닌 셈이다.
☞ [사진] 안중근 의사, 그 분은 가셨지만…
하얼빈시 작가협회 주석을 역임한 소설가 아청(阿成·왼쪽·75·본명 왕아청)은 “안 의사는 자신의 생명을 희생해서 개인의 이익이 아닌 대한민국, 아니 아시아의 이익을 추구한 인물”이라면서 “지금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그가 가졌던 바로 그런 정의감”이라고 말했다.
아청은 2000년 안 의사의 거사를 소재로 한 중편소설 ‘안중근, 이등박문을 사살하다’를 발표했으며 이 작품은 중국 내에서 그해에 발표한 최고의 소설 가운데 하나로 뽑혔다.
초등학생 시절 하얼빈 기차역에서 기차를 기다리다가 철도공무원이었던 할아버지로부터 안 의사 거사와 관련된 얘기를 처음 들었다는 그는 “안 의사는 오로지 이토 히로부미를 격살한다는 목표로 도망갈 생각은 아예 하지 않은 채 거사만 생각했다.”며 “후대에게 그런 그의 비장한 거사 동기 등을 제대로 전해주자는 취지에서 소설을 쓰게 됐다.”고 말했다.
오페라 ‘안중근’의 대본을 집필한 왕훙빈(王洪彬·오른쪽·75) 전 하얼빈시 문화국장은 “안중근 의사의 정신은 한국인이 아닌 모든 전세계 평화애호자들의 공통재산”이라면서 “안 의사가 한국인은 물론 중국인과 아시아인, 세계인의 존경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안 의사의 사상을 전세계에 널리 알리자는 취지에서 전세계인의 언어인 오페라로 표현했다는 왕 전 국장은 “안중근 거사는 지금까지 하얼빈 역사연구의 중요한 주제 가운데 하나였다.”면서 “중국 내에서도 안 의사 관련 출판은 매우 자유롭고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1992년 하얼빈에서 초연된 왕 전 국장의 오페라 ‘안중근’은 현지에서 20여차례 공연됐으며, 1995년에는 국내 무대에도 소개돼 40여차례 전국 각지의 무대에 올려졌다.
stinger@seoul.co.kr
2010-03-2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