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함대 분향소·화장장 주변
25일 천안함 희생 장병 46명의 합동분향소가 마련된 경기 평택시 해군 2함대 사령부에서는 곳곳에서 오열하는 등 하루 종일 침통한 분위기였다.![“아들아…” 25일 경기 평택시 해군2함대사령부에 마련된 ‘천안함 46용사 분향소’에서 한 유가족이 영정을 어루만지며 오열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4/25/SSI_20100425182248.jpg)
25일 경기 평택시 해군2함대사령부에 마련된 ‘천안함 46용사 분향소’에서 한 유가족이 영정을 어루만지며 오열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아들아…” 25일 경기 평택시 해군2함대사령부에 마련된 ‘천안함 46용사 분향소’에서 한 유가족이 영정을 어루만지며 오열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4/25/SSI_20100425182248.jpg)
“아들아…”
25일 경기 평택시 해군2함대사령부에 마련된 ‘천안함 46용사 분향소’에서 한 유가족이 영정을 어루만지며 오열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25일 경기 평택시 해군2함대사령부에 마련된 ‘천안함 46용사 분향소’에서 한 유가족이 영정을 어루만지며 오열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오후부터는 정운찬 국무총리 등 국무위원과 조문객들의 방문이 줄을 이었다. 유가족을 비롯, 지인과 일반시민 등 이날 하루 동안 1500여명이 다녀갔다. 한 시민은 “초등학생 아들이 뉴스를 보고 울면서 오고 싶다고 해 조문을 왔다.”면서 “내 동생도 20세에 세상을 떠나 희생 장병을 보면 내 동생 같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희생 장병에 대한 화장 절차도 이어졌다. 이날 경기 수원시 연화장에서는 안경환 상사와 임재엽 중사, 이상민 하사, 장철희 일병 등 4명의 시신이 유족들의 오열 속에 화장돼 한줌 재로 돌아갔다.
안 상사의 어머니는 아들의 시신이 담긴 관 앞에 주저앉아 “우리 아들, 엄마 어떻게 살라고 이렇게 가니. 누가 내 아들 날개를 꺾었습니까.”라며 통곡을 멈추지 않았다. 울부짖다 실신해 인근 병원으로 후송됐던 이 하사의 아버지는 “아들의 마지막 가는 길 배웅은 해야 한다.”며 팔에 링거를 꽂고 연화장으로 다시 돌아와 보는 이들의 눈시울을 붉히게 했다.
또 충남 연기군 은하수공원 화장장에서도 김종헌 중사와 조정규 하사, 문영욱 하사, 이재민 병장 등 4명에 대한 화장식이 진행됐다. 김 중사의 부인은 남편의 이름조차 부르지 못하고 “엄마, 엄마”를 외치며 발만 동동 굴렀다. 조 하사의 어머니는 동료 해군 장병들이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에 ‘필승’ 구호를 외치자 터져나오려는 울음을 손수건으로 막았다.앞서 24일에는 문규석 상사 등 6명에 대한 화장식이 연화장에서 이뤄졌다. 장병들의 시신은 화장로에 들어간 지 2시간여 만에 한줌 재로 봉안함에 담겨 가족들의 품에 안긴 채 다시 2함대로 옮겨졌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10-04-2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