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한잔에 한민족 2000년 문화가 담겨있죠”

“차 한잔에 한민족 2000년 문화가 담겨있죠”

입력 2010-11-25 00:00
수정 2010-11-25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차문화 전도사’ 박권흠 세계차인연합회장

“흔히 영국이나 일본, 중국의 차 문화만 대단하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차문화 역사는 2000년이 넘습니다. ‘차례’의 차가 바로 술이 아니라 차를 의미하지 않습니까. 한 잔의 차에 한민족의 뿌리와 역사가 담겨 있는 셈입니다.”

이미지 확대
박권흠 세계차인연합회장
박권흠 세계차인연합회장
●제사에 올릴 정도로 차를 사랑한 민족

24일 서울 인사동에서 만난 박권흠(77) 세계차인(茶人)연합회장은 ‘차례’의 어원을 얘기하며 한민족을 ‘제사에 차를 올려 조상에 바칠 정도로 차를 사랑했던 민족’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서기 48년 가락국 김수로왕의 비 허씨 황후가 아유타국(인도)에서 시집올 때 차씨를 가져와 배월산에 심었다는 역사를 끄집어내며 한국 차문화의 전통을 설명했다.

박 회장은 “조선시대 병자호란 이후 오랑캐인 청나라에 차를 조공할 수 없다는 농민들이 늘면서 급속히 차 재배가 줄어 일부 사찰에서만 재배가 이뤄졌고, 그마저도 일제시대 들어 종적을 감췄다.”면서 “1970년대 후반에서야 한국의 차문화를 부활시키자는 움직임이 조금씩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3선 국회의원 출신인 박 회장은 1992년 차인연합회장을 맡으면서 본격적인 차문화 전도사로 발벗고 나섰다.

1994년 한국다도대학원을 개설해, 다도 지도자를 양성하기 시작했고 1996년에는 국제차문화 대회를 서울에서 개최했다. 1979년 연합회가 처음 설립될 당시 30여개에 불과했던 가맹단체는 현재 320개로 늘었고 차문화 인구는 500여만명(연합회 추산)에 이를 정도로 급성장했다. 박 회장은 “차를 재배하는 농민이나 파는 상인, 차를 즐기는 사람들에 이르기까지 국산차의 인기는 계속 높아지고 있다.”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던 도자기 산업이 차문화 부흥으로 인해 다기로 영역을 넓힐 수 있었던 것도 중요한 성과”라고 평가했다.

●국산차 브랜드 가치 높이는 일 앞장

국산차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일도 박 회장이 힘을 쏟는 분야다. 국산차의 생산량이 적어 아직까지 해외 수출은 꿈도 못 꾸는 처지지만, 언젠가는 중국과 일본차를 넘어 해외시장에서 명차로 이름을 날릴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국제 차품평회가 있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지 농민과 상인들을 이끌고 ‘세일즈 방문’을 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 10월 타이완에서 열린 세계차문화 대회에서는 4년 임기의 세계차인연합회장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세계차인연합회는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인도, 타이완, 말레이시아 등 차가 대량으로 생산되는 범아시아권의 차산업을 총괄하는 연합체다. 박 회장은 “중국의 보이차나 일본차에 열광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우리 차의 진정한 가치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서 “신토불이라는 말은 차에도 적용되는 것인 만큼 정부가 우리차 중흥에 좀 더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글 사진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11-2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