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첫 조업…생업현장 본 어민 ‘망연자실’

연평도 첫 조업…생업현장 본 어민 ‘망연자실’

입력 2010-12-05 00:00
수정 2010-12-05 14: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물 찢어지고 생선은 다 썩어

“모조리 다 썩었어 다…” 북한의 연평도 포 사격이 있은 지 13일 만인 5일 연평도에서 첫 조업을 나간 어민 박철훈(56)씨는 엉망이 된 생업 현장을 둘러보고 와서는 연신 한숨을 쉬었다.

 선주인 박씨는 이날 오전 8시 선장 서경원(32)씨와 선원 2명을 데리고 연평도 서쪽 4마일 지점에 나가 지난달 22∼23일 설치한 안강망 틀을 확인했다.

 총 15틀을 바다에 설치했는데 이날은 파도가 높아 간신히 4틀만 확인했다.

 이 가운데 1틀은 바다에 너무 오래 둔 탓에 바닷물과 그물에 걸린 생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그만 찢어졌다.

 나머지 3틀을 들어 올려 그물에 가득 찬 물고기를 배 위에 쏟았더니 악취가 코를 찔렀다.

 그물에 든 우럭과 광어,잔 새우,꽃게 등이 한데 뒤섞여 모조리 썩어 있었다.

 그나마 쓸만한 것은 이날 아침 그물에 걸린 듯한 주꾸미 11마리와 꽃게 5∼6마리가 전부였다.

 박씨는 “광어가 완전히 썩어서 문들 문들 해졌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옆에 있던 서 선장이 “바닷고기는 1마리가 썩으면 그 주변 고기까지 다 죽는다.안강망은 최소 2∼3일에 한 번 털어줘야 하는데 그걸 못했으니‥”라며 거들었다.

 서 선장은 작년 이맘때 같으면 하루 평균 700만∼800만원,많으면 1천만원의 수익을 올렸다고 설명했다.11월 중순부터 12월 중순까지 2억원 상당을 벌었다.

 안강망은 비수기인 7월15∼8월15일까지가 금어기라 사실상 1년 내내 조업이 가능하다.

 서 선장은 “12년 바다 생활하면서 이렇게 썩은 고기를 버린 적이 없었다.성수기 때 바짝 벌어야 선주도 먹고살고 우리도 사는데‥”라며 속을 태웠다.

 어민들의 어업 피해 조사가 늦어지는 것도 어민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박씨는 “지금 우리 같은 어업은 북한 포격의 2차 피해라고 하는데 그 내용을 조사하는 사람이 없다”며 섭섭함을 토로했다.

 박씨는 “밖에 나간 다른 사람들이 일을 못하는 상황에 나만 조업하기도 그래서 이래저래 난감하다”며 “그래도 날씨만 좋으면 조업을 계속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