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평균신장 7년째 제자리, 20대 7.3등신…체형 서구화
영양 상태가 좋아진 한국인의 평균 신장은 언제까지 커질까. 성인 남녀의 키는 2003년 이후 더 커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2/17/SSI_20101217012750.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2/17/SSI_20101217012750.jpg)
키의 성장은 한계에 도달했지만 몸통과 대비한 다리 길이의 비율은 점차 높아져 신체의 서구화는 계속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키의 20대와 50대를 비교했을 때 20대의 다리 길이가 약 2㎝ 길었고, 머리 길이를 1로 놓았을 때 20대의 키는 ‘7.3등신’인 반면 40대 이상은 ‘7.2등신’ 이하로 젊은 층의 다리가 길어졌음을 알 수 있다. 여성은 대개 13세, 남성은 15세가 되면 성장속도가 둔화돼 이후 평균 4~5㎝ 더 자라고 말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여성의 키 멈추는 나이가 13세에서 12세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몸무게는 여성의 경우 과체중이나 비만의 비율은 줄었지만 심한 다이어트의 영향으로 저체중 인구 비율이 7년 전에 비해 크게 늘었다(20대 후반 11.5%→15.7%). 일본도 남성의 키 성장세가 멈췄다. 2010년 문부과학성의 학교보건통계조사를 보면 5~17세의 남성 평균 키가 처음 전년도를 상회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세 남성의 평균키는 170.7㎝, 여성은 158㎝로 우리나라보다 2~4㎝ 작다. 미국인(18~65세)의 평균 키는 2000년 기준 남성은 175.9㎝, 여성은 163.0㎝다.
우리나라의 이번 조사는 전국의 7~69세 남녀 1만 4016명을 대상으로 키 등 136개 항목을 측정한 결과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12-1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