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처분이 최선이라던 방역당국이 결국엔 ‘최후의 조치’라던 백신접종 카드를 꺼내들었다. 백신 접종은 방역당국이 사실상 ‘항복’하는 셈이기 때문에 대다수의 선진국들이 꺼리고 있다. 역설적으로는 그만큼 급했다는 얘기다. 앞으로 수년 동안 이어질 접종의 후유증을 감내하고서라도 지금의 확산속도를 늦춰보겠다는 것이다.
물론 이번에 농림수산식품부가 선택한 것은 안동 등 구제역 발생 농장이 밀집한 지역을 포위하듯 일정한 반경 이내의 지역에만 예방접종을 하는 이른바 ‘링(Ring) 백신’ 방식이다. 특정 지역 전체를 접종하는 ‘지역 백신’이나 전국에 걸쳐 접종하는 ‘전국 백신’보다는 제한적인 조치다.
확보 물량은 충분하다. 정부는 30만 마리 분량의 예방백신 완제품을 비축해 놓고 있다. 또 구제역 국제표준연구소인 영국 퍼브라이트 연구소에 430만 마리 분량의 항원 형태 반제품을 배양해 놓았다. 완제품 생산에 4개월이 걸리지만, 항원에서 완제품을 만드는 데는 4~5일이면 충분하다.
다만 백신카드가 얼마나 ‘약발’을 발휘할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백신을 접종한다고 해도 항체 형성까지는 1~2주일 이상 걸린다. 그나마 항체가 생길 확률은 85% 안팎이다. 접종을 한 가축이 바이러스를 실어나르는 보균동물(carrier) 역할을 하는 것까지 막을 수 없다.
물론 전면 접종의 단계에 이른다면 아르헨티나나 중국 등 백신접종 국가의 축산물 수입 요구를 외면하기도 힘들다. 또 접종을 중단한 뒤 1년이 지나야 구제역 청정국 지위가 회복되는 만큼 축산농가의 피해가 더 커진다. 백신접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이동제한 해제 이후 3개월이면 청정국의 지위를 회복할 수 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물론 이번에 농림수산식품부가 선택한 것은 안동 등 구제역 발생 농장이 밀집한 지역을 포위하듯 일정한 반경 이내의 지역에만 예방접종을 하는 이른바 ‘링(Ring) 백신’ 방식이다. 특정 지역 전체를 접종하는 ‘지역 백신’이나 전국에 걸쳐 접종하는 ‘전국 백신’보다는 제한적인 조치다.
확보 물량은 충분하다. 정부는 30만 마리 분량의 예방백신 완제품을 비축해 놓고 있다. 또 구제역 국제표준연구소인 영국 퍼브라이트 연구소에 430만 마리 분량의 항원 형태 반제품을 배양해 놓았다. 완제품 생산에 4개월이 걸리지만, 항원에서 완제품을 만드는 데는 4~5일이면 충분하다.
다만 백신카드가 얼마나 ‘약발’을 발휘할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백신을 접종한다고 해도 항체 형성까지는 1~2주일 이상 걸린다. 그나마 항체가 생길 확률은 85% 안팎이다. 접종을 한 가축이 바이러스를 실어나르는 보균동물(carrier) 역할을 하는 것까지 막을 수 없다.
물론 전면 접종의 단계에 이른다면 아르헨티나나 중국 등 백신접종 국가의 축산물 수입 요구를 외면하기도 힘들다. 또 접종을 중단한 뒤 1년이 지나야 구제역 청정국 지위가 회복되는 만큼 축산농가의 피해가 더 커진다. 백신접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이동제한 해제 이후 3개월이면 청정국의 지위를 회복할 수 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12-2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