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단독 입수… 전의경 관리방안 용역보고서
전의경 대원 간의 상습적인 구타 및 가혹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경찰이 특단의 대책을 마련했다. 경찰은 전의경을 대상으로 경찰관 특별채용 비율을 높여 복무가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등 전의경을 우수한 경찰인력 확보의 기반으로 삼을 방침이다. 또 군부대 차출, 자원입대 등 현행 전의경 선발방식을 ‘자대배치 후 100일 평가’ 등 전문화된 3단계로 일원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31/SSI_20110131012137.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31/SSI_20110131012137.jpg)
30일 서울신문이 단독 입수한 ‘전의경 심리분석을 통한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라는 경찰청 용역보고서(조선대 산학협력단)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까지 전의경과 소대장을 대상으로 심층면접한 결과 전의경 선발방식을 개선하고, 대원들의 복무 의욕을 높이는 것이 구타 및 가혹행위 예방의 핵심 대안으로 제시됐다.
전의경을 대상으로 한 경찰공무원 특채를 확대할 경우 복무와 취업이 연계돼 복무 시 사고를 유발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경찰청은 “심리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면밀히 파악하고, 특채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새로운 관리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해 합리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전의경 선발방식 개선이 첫 번째 검토 대상이다. 1단계에서 병무청 징병검사와 별도로 전의경 징병검사를 추가 실시하고, 2단계는 경찰중앙학교 훈련평가 점수를 반영하며, 3단계는 자대배치 후 100일 평가와 전문상담관의 심층 면접으로 전의경을 최종 선발할 방침이다. 모든 단계는 전 단계를 통과한 지원자에 한해 실시된다. 특히 3단계에서는 인성검사뿐 아니라 지원자들의 스트레스 상태까지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 방법이 도입된다. 정신건강에 잠재적 위험요소를 가진 지원자를 선발 단계에서 걸러내 구타 및 가혹행위 발생 가능성을 조기에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이 밖에 경찰은 전의경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면접 결과를 토대로 전의경 부대에 의경 출신 경찰관을 배치하고, 현역 대원 가운데 심신질환자는 가정과 사회로 복귀시키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 우발적인 전의경 사고에 대한 책임을 관리자에게 묻지 않음으로써 잠재된 문제를 양성화하고, 적극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육군에서 시행하고 있는 ‘또래상담병’ 제도를 전의경 내무반에 도입해 대원들이 심리적인 위안을 얻게 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1-01-3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