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사는 이야기가 바로 소설…재외동포 삶 담아”

“사람 사는 이야기가 바로 소설…재외동포 삶 담아”

입력 2011-03-04 00:00
업데이트 2011-03-0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팔순 맞아 소설집 ‘가는 세월과 흐르는 사람들’ 펴낸 이호철씨

평생 남북 분단의 비극을 그려온 소설가 이호철씨가 팔순을 맞아 소설집을 냈다. ‘가는 세월과 흐르는 사람들’(글누림 펴냄)이다.

이미지 확대
책은 팔십대에 접어드는 그가 재외동포들의 이야기를 통해 지난 인생을 돌아본 소회를 담았다.

1932년 원산에서 태어난 그는 1950년 만 18세에 혈혈단신 월남, ‘탈향’ ‘나상’ ‘판문점’ ‘남녘사람 북녁사람’ 등을 발표하며 ‘분단 문학’의 대표 작가로 활동해 왔다.

데뷔작 ‘탈향’을 1955년 발표해 60년 가까이 전쟁과 분단문제에 천착한 그는 어느덧 한국 문단의 ‘최고참’ 작가가 됐지만 “늙을 틈이 없을 정도로 앞으로도 할 일이 많다.”며 여전히 현역임을 과시하고 있다.

소설은 KBS의 ‘해외동포 체험수기’에 응모한 중국, 러시아 등 재외동포들의 수상작을 바탕으로 했다.

먼저 그들의 수기를 소개하고, 작가가 “이 글을 읽은 소감이 어떠신가?”라며 몇몇 사람들과 허물 없이 소감을 주고받는 독특한 형식이다. 이씨는 실제로 수상 수기를 읽고 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방송 프로그램에 패널로 출연했던 경험을 살려 소설로 다시 풀어냈다.

그는 “사람 사는 이야기가 바로 소설”이라며 “동포들의 수기를 여러 사람이 토론하는 식으로 구성했는데, 쓰면서도 재미있었고 하고 싶은 이야기를 마음껏 할 수 있었다.”며 형식을 초월한 소설 쓰기에 대해 설명했다.

팔순을 맞은 소회에 대해서는 “가만 생각해 보니 36년 전에 감옥에 들어갔는데 이 나이가 되니 꼭 어제 같다.”며 “서정주, 김동리 선생의 팔순 기념행사에 간 기억이 나는데 내가 팔십이라니 세월이 그렇게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났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문학의 본령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문학의 시대는 끝났다는 소리도 하는데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문학이 사람을 끌지 못하고 내쫓는 꼴이 된 것은 일단 문학의 책임이죠. 박완서 소설처럼 재미있으면서도 생각하게 하는 작품을 쓰는 소설가가 몇명 없어요.”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03-04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