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이 막 설레고 그래… 글 배울 생각하면”

“가슴이 막 설레고 그래… 글 배울 생각하면”

입력 2011-03-04 00:00
업데이트 2011-03-0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9세에 초등학교 입학 정혜자 할머니

“자꾸 묻지 마. 눈물 나올라 그래.”

3일 오전 10시 10분 서울 마포문화센터. 성인 대상 학력 인정기관인 양원초등학교 입학식이 열린 이곳에서 한 백발의 할머니가 앙상하게 마른 손으로 얼굴을 감쌌다. 벌겋게 젖어든 눈을 지그시 감았다. 마치 고단했던 삶이 아프게 가슴을 훑기라도 하는 양. 이름 석자 외에는 읽지도, 쓰지도 못하는 69세 정혜자 할머니는 그렇게 초등학교 1학년생이 됐다.

이미지 확대
3일 서울 마포문화센터에서 열린 양원초등학교 제7회 입학식에서 정혜자(오른쪽 두번째) 할머니가 진지한 표정으로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3일 서울 마포문화센터에서 열린 양원초등학교 제7회 입학식에서 정혜자(오른쪽 두번째) 할머니가 진지한 표정으로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단칸방서 기초수급자로 홀로 살아

정 할머니는 세살 때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계모의 학대 속에서 자랐다. 정 할머니의 그릇에서 밥을 덜어 친아들 밥그릇에 얹어주는 계모 밑에서 학교 공부는 ‘사치’였다. 아침마다 학교에 가는 한살 어린 남동생을 바라보며 부엌에서 서럽게 울던 일도 이제 어렴풋한 옛일이 됐다. 밥을 제대로 주지 않는 계모에게 “우리 아빠가 벌어온 돈인데….”라고 말대꾸를 했다가 입술이 다 터지도록 맞았던 일도 이제 희미한 기억일 뿐이다. 견디다 못해 열여섯에 집을 나와 남의 집 ‘애기담살이’로 떠돌이 생활을 했던 일도 이제 추억이 됐다.

그러나 못 배운 한(恨)은 두고두고 그를 아프게 했다. 농사일을 하며 애써 기른 콩으로 돈을 살 때도 글을 몰라 흥정 한번 제대로 해 보지 못했다. 상인들에게 “무식한 년”이라며 무시당해 몰래 눈물을 훔친 적도 많았다. 표지판을 읽지 못해 거리로 나서는 것조차 두려웠다.

13㎡(4평) 남짓한 20만원짜리 단칸방과 40여만원의 기초생활수급비, 아직은 꼼지락거릴 만한 팔다리. 이 세 가지가 할머니가 가진 재산의 전부였다.

그런 그가 경기 양평의 집에서 서울 대흥동까지 4시간이나 걸리는 길을 매일 통학하기로 했다. 쌀과 김치, 기름값 등을 제외하면 남는 돈이라야 고작 몇 만원이지만 그는 “꼭 글을 배우고 싶다.”고 했다. 불편한 허리와 다리 탓에 오래 걷는 것이 고역이지만 그래도 도전하겠다고 했다. 은행에 갈 때나 장을 볼 때 주변에서 도와주는 이들에게 미안해서란다. 또 한번이라도 사람들에게 묻지 않고 길을 나서고 싶어서란다.

●4시간 통학길 “열심히 다녀야지”

할머니는 혹여나 입학식에 늦을까 전날 미리 서울로 와 사촌집에서 묵었다. 정 할머니는 “설레고 그래, 글 배울 생각하면….”이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기초수급자로 홀로 살며 먼 거리를 다닐 수 있겠느냐는 물음에 “그럼, 열심히 다녀야지.” 하고는 수줍은 듯이 웃었다.

입학식에는 신입생 342명이 참석했다. 50~80대 할머니와 할아버지들로 구성된 올해 신입생의 평균연령은 65세. 배우지 못한 설움으로 평생 웅크린 채 살아오다 뒤늦게 학업에 도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은 앞으로 초등학교 6년 과정을 4년에 걸쳐 이수하면 졸업장을 받게 된다. 2005년 개교해 올해 일곱 번째로 신입생을 맞은 양원초교는 지난달까지 모두 682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글 사진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1-03-04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