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추적] 보기보다 못된 연무

[이슈 추적] 보기보다 못된 연무

입력 2011-03-28 00:00
업데이트 2011-03-28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산 등 포함… 호흡기 질환 우려

“실제 황사보다 건강에 더 치명적인 것은 연무죠.”

황사와 함께 봄철이면 크게 증가하는 것이 있다. ‘보이지 않는 습격자’ 연무가 바로 그것이다. 연무는 대기 중의 황산과 같은 물질이 수증기와 함께 응집되면서 시계가 1~10㎞ 정도로 크게 제한받는 현상을 말한다. 전문가들은 눈에 보이는 황사보다 연무가 건강에는 더욱 치명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27일 기상청에 따르면 연무현상은 황사와 마찬가지로 3월부터 5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문제는 연무의 주요 성분이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황사는 미네랄과 칼슘 등 토양의 이온성분이 더 많지만 연무는 황산과 질산 이온 등 공장이나 자동차에서 나온 이온 물질이 대부분”이라면서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황사에는 신경을 많이 쓰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연무에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연무는 황사보다 더 신체에 치명적이다. 연무의 입자 크기는 1㎛ 정도로 최대 18㎛인 황사보다 훨씬 작다. 때문에 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거의 걸러지지 않는다. 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 박무석 교수는 “연무는 매연, 이산화탄소 같은 불완전 연소물 그리고 미세먼지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폐에 손상을 주고 천식,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03-28 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